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3059.jpg
KCI등재 학술저널

음주자들의 자기통제(음주억제)가 목표갈등과 음주행동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

The Mediating Effect of Self-control (Drinking Restrai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oal Conflict and Drinking Behaviors in Drinkers

  • 3

본 연구는 자기통제가 목표갈등을 해결하는 과정임을 밝히기 위해, 세 음주군(사회음주군, 문제음주군, 알코올의존군)을 대상으로 목표갈등과 음주행동 간의 관계에서 음주억제의 매개효과를 알아보았다. 세 음주군 중, 사회음주군(225명)과 문제음주군(237명)은 알코올 사용 장애 인식 검사(AUDIT) 총점에 따라 분류되었다. 그리고 알코올의존군(86명)의 경우, 알코올 중독 입원 치료경험이 있고 전문가로부터 알코올 남용 혹은 의존 진단을 받았던 사람들에 한하여 연구 대상에 포함시켰다. 참여자 모두 음주에 대한 목표갈등, 유혹 및 억제 척도와 음주행동(음주량과 음주빈도)에 대해 자기보고식 평정을 하였다. 그 결과, 사회음주군에서는 목표갈등과 음주량의 관계에서 음주억제의 부분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즉 목표갈등이 높을수록 음주억제 수준이 높았고, 음주억제 수준이 높아질수록 음주량도 증가하였다. 문제음주군에서는 목표갈등이 음주억제 수준과 음주량을 예측하지 못하였지만, 음주억제 수준이 높을수록 음주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알코올의존군에서는 목표갈등과 음주억제, 음주량 간의 관계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음주행동 통제가 목표갈등을 해결하는 역동적인 과정임을 나타낸다. 또한 음주군에 따라 음주행동통제 양상이 다르므로 음주행동을 효과적으로 통제하기 위해서는 음주군에 따른 상이한 교육적 및 치료적 개입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This research examined the relationships between drinking behavior control and goal conflict,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drinking restrai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oal conflict and drinking behaviors by using three male drinker groups (225 social drinkers, 237 problem drinkers, and 86 alcohol dependents). From participants, the goal conflict measure to the alcohol, scores on the Temptation and Restraint Inventory (TRI), as well as frequency and quantity measures of self-reported drinking were obtained. The results showed that a social drinker group exhibited that drinking restraint partially mediated between goal conflict and drinking quantity among drinking behaviors. For a problem drinker group, goal conflict score did not predict both drinking restraint level and drinking quantity. However, problem drinkers who scored high on drinking restraint exhibited higher level of drinking quantity. In contrast, an alcohol dependents group did not exhibit any relations among goal conflict, drinking restraint, and drinking behaviors.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drinking self-control may be the dynamic process of goal conflict resolution, and drinking behavior control may different from various drinker groups. Therefore, different intervention strategies for drinking behaviors control should be applied to different drinkers groups.

1. 서론

2. 연구방법

3. 결과

4. 결론 및 논의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