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3059.jpg
KCI등재 학술저널

중년여성의 건강증진생활양식, 자기효능감 및 생활만족도

Health Promoting Lifestyle, Self-Efficacy, and Life Satisfaction of Middle-aged Women

  • 77

본 연구는 중년기 여성을 대상으로 건강증진생활양식, 자기효능감 및 생활만족도를 파악하고 이들 요인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중년여성의 건강증진과 생활만족도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2년 9월 11일부터 25일까지 C시와 B시에 거주하는 40세부터 59세 사이의 중년여성 209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수집하였으며, 자료의 분석은 SPSS 20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중년여성들의 건강증진생활양식은 연령이 높을수록, 월수입이 많을수록, 자신의 건강을 아주 좋게 인식할수록 높게 나타났으며 자기효능감은 직업이 있는 경우, 종교가 기독교인 경우, 월수입이 많을수록, 자신의 건강을 아주 좋게 인식할수록 높았다. 생활만족도는 종교가 기독교인 경우,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자신의 건강을 아주 좋게 인식할수록 높게 나타났다. 중년여성의 건강증진생활양식, 자기효능감과 생활만족도는 서로 강한 순상관관계가 있었다. 또한 자기효능감과 생활만족도는 중년여성의 건강증진생활양식을 유의하게 설명하는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자기효능감은 29.4%, 생활만족도를 추가하면 42.4%의 건강증진생활양식 정도에 대한 설명력을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중년여성의 건강증진을 위해서는 생활만족도 향상을 함께 꾀할 수 있는 다양한 차원에서의 중재방안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중년여성의 건강증진뿐만아나라 전반적인 생활영역에서의 만족도 증진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Purpose: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health promoting lifestyle, self-efficacy, and life satisfaction of middle-aged women.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09 middle-aged women in C and B city. Data were collected by using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and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r ANOVA with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ere used for data analysis with SPSS 20 program. Results: The level of health promoting lifestyle, self-efficacy, and life satisfaction were relatively moderate. The score of health promoting lifestyle was affected by various general characteristics. Health promoting lifestyle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self-efficacy and life satisfaction. Also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elf-efficacy and life satisfaction. Self-efficacy and life satisfaction were accounted for 42.4% in health promoting lifestyle of middle-aged women. Conclusion: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provide evidence of the effects of self-efficacy and life satisfaction in health promoting lifestyle of middle-aged women. These results indicated a need to develop a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to promote health promoting lifestyle, self-efficacy, and life satisfaction of middle-aged women.

1. 서론

2. 연구 방법

3. 연구 결과

4. 논의

5. 결론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