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역사회거주 노인의 체질량 지수에 따른 인지기능과 우울
Cognitive Function and Depression According to Body Mass Index in Community-dwelling Elders
- 김성은(Seong Eun Kim)
- 한국자료분석학회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 Vol.15 No.2
- 등재여부 : KCI등재
- 2013.04
- 873 - 886 (14 pages)
본 연구는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체질량 지수와 인지기능, 우울 수준을 확인하고 체질량 지수(저체중, 정상체중, 과체중, 비만)에 따른 인지기능과 우울 수준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는 보건복지가족부에서 조사한 2008년도 노인실태조사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국 8도의 읍면부에 거주하는 만 65세 이상의 노인 3,559명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대상자의 체질량 지수의 분포는 저체중이 262명(7.4%), 정상체중 1,602명(45.0%), 과체중 773명(21.7%), 비만 922명(25.9%)으로 확인되었고, 인지기능은 22.01점, 우울은 5.53점이었다. 체질량 지수에 따른 인지기능과 우울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저체중군이 다른 세 군보다 유의하게 인지기능 점수가 낮게 나타났으며(F=10.662, p=<.001), 우울은 저체중군이 정상체중군과 과체중군보다, 비만이 과체중군보다 우울수준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F=8.211, p=<.001). 본 연구를 통해 체질량 지수가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인지기능 및 우울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치매와 우울예방을 위한 간호중재 연구 및 개발 시 체질량 지수에 따른 차이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was a cross sectional study to examine the difference in cognitive function and depression according to body mass index (BMI). Data on 3,559 community-dwelling elders aged 65 or above, from the 2008 National Elderly Survey, were analyzed. The distribution of BMI was as follws: low weight (7.4%), normal weight (45.0%), over weight (21.7%) and obese (25.9%). The mean score of cognitive function was 22.01, and depression was 5.53.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gnitive function and depression according to BMI (F=10.662, p=<.001; F=8.211, p=<.001). This study showed to draw a link among BMI, cognitive function and depression. Therefore, BMI differences should be considered in studying and developing interventions for cognitive function and depression in communitydwelling elders.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논의
5. 결론 및 제언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