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호자 없는 병원 운영에 대한 간호부서장의 인식
Nursing Leaders’ Perception on the Patient-Sitter Program
- 한국자료분석학회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 Vol.15 No.2
- : KCI등재
- 2013.04
- 813 - 826 (14 pages)
본 연구는 의료기관에서의 간호인력 배치, 간호서비스 제공을 계획하고 관리하는 책임을 맡고 있는 간호부서장의 보호자 없는 병원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향후 보호자 없는 병원 운영 및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상급종합병원 및 종합병원 전수를 대상으로 우편설문을 실시하여 총 116개소의 간호부서장이 설문에 참여하였다. 연구결과 보호자 없는 병원의 운영단위는 병원 전체보다는 일부 병실 또는 병동으로 하고, 환자 중증도를 반영한 환자분류결과에 따라 병실을 구분하여 필요시 입실을 제한하며, 운영단위별로 간호관리료 차등제를 적용하거나, 환자분류결과별로 비용을 차등화하는 것이 필요하나, 실제 비용 차등화의 적용에는 어려움이 있다는 의견이 제시되었다. 보호자 없는 병원 운영이 가능한 간호사 배치수준(일평균 환자수 대비 간호사의 비율)은 2.0:1 이상~2.5:1 미만이라는 의견이 가장 많았고, 31.5%는 현재의 간호관리료 1등급보다 더 높은 등급의 간호사 배치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간호보조인력 혹은 간병인은 보호자 없는 병동이 운영되는 다인실별로 근무조별 인력이 상근하여 1인당 4.2~5.9명을 담당하는 것이 적정하다고 하였다. 보호자 없는 병원을 제도화하기 위해서는 간호인력 부족으로 환자 보호자 및 간병인 등에게 위임되었던 간호서비스를 병원에서 제공함으로써 환자안전 및 간호서비스의 질 향상을 도모하고자 하는 사업목표를 명확히 하고, 적정 간호인력의 배치기준 개발과 간호수가제도의 개선, 간호인력간 역할범위 설정 등에 관한 체계적인 후속연구가 필요하며, 이를 토대로 보건정책을 개발할 것을 제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nursing leaders’ perceptions on the patient-sitter program in acute care hospitals and to set up a plan that hospitals provide patients with sufficient nursing support services. A total of 116 nursing leaders participated in tertiary hospitals and general hospitals. The data was collected using nursing leaders’ self-reporting questionnaire during the period from June 28th to Aug. 29th in 2008. The appropriate operating unit of the patient-sitter program is a hospital ward or multi-patient room, and need to apply the differentiated inpatient nursing fees by the results of patient classification or disease severity. Patient to nurse ratio for the patient-sitter program is 2.0: 1~2.5:1, and they want to stay the patient-sitter all day per multi-patient room. To promote a patient-sitter program, the adequate standards of nurse staffing, job description, nursing services monitoring, and financial resources has to be presented.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논의
5. 결론 및 제언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