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위기 이후 실업자의 고용변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ransition of Employment Status for the Unemployed Person after Financial Crisis
- 천영민(Young-Min Chun)
- 한국자료분석학회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 Vol.15 No.3
- 등재여부 : KCI등재
- 2013.06
- 1477 - 1487 (11 pages)
본 연구에서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가 2009년 국내 노동시장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서 2009년 실업자의 고용형태 전환을 분석하였다. 또한 2009년 실업자가 새로운 일자리를 얻기 위해 소요되는 구직기간 및 그만 둔 일자리의 근속기간을 산출하였다. 2009년 실업자 중에서 약 63%가 2009년과 2010년에 재취업을 하였고, 나머지 37%는 재취업에 실패한 것으로 나타났다. 비정규직에서 정규직으로의 전환 비율은 33.3%, 정규직 유지 비율은 74.0%이었다. 비정규직 근로자들 가운데에서도 상대적으로 저연령인 경우에는 정규직으로의 전환이 좀 더 용이함을 알 수 있었고, 상대적으로 고연령인 경우에는 비정규직 형태로 고착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실업자의 구직기간은 평균 6.67주이었는데 여성보다는 남성이, 사회보험 미수혜자보다는 수혜자가 구직기간이 길었다. 한편, 2009년 실직한 이전 직장의 근속기간은 평균 35.64개월인 것으로 나타났는데, 여성 보다는 남성이, 가구원 보다는 가구주가, 비정규직 보다는 정규직이, 사회보험 미수혜자 보다는 수혜자가, 노조 비가입자 보다는 가입자가, 법정퇴직금 미수혜자보다는 수혜자가 이전 직장의 근속 기간이 긴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nalyzes the transition of employment status of the unemployed in 2009,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s of 2008 global financial crisis on the domestic labor market. This study was focused on how much time does it take for new job. Besides, It was calculated the duration until the unemployed quit the job. Among the unemployment in 2009, 63% were succeed and 37% were failed to re-employment. 33.3% of non-regular workers have become regular workers. 74.0% of regular workers retain in same status. All of the non-regular workers, relatively low aged non-regular workers moved more easily. On the contrary, relatively high aged non-regular workers are likely to be stuck in the present status. Job search period of unemployed are 6.67 weeks and the period of continuous service of previous work are 35.64 months. Both of these periods are longer in male than female.
1. 서론
2. 선행연구 및 분석자료
3. 데이터 처리 및 분석 결과
4. 결론 및 제언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