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3060.jpg
KCI등재 학술저널

고용성과가 노후 생활에 끼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nalysis on Effect of Employment Performance to Elderly Life

  • 25

본 연구는 중고령자의 현재 상태를 과거의 직업력 자료와 연계하여 과거의 경력이 현재의 삶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즉, 과거 직업력의 고용형태에 따라 현재의 경제 상태와 건강 그리고 만족도와 문화생활에 어떠한 관련이 있는 지를 분석하였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는 노년기와 과거의 다양한 속성 중 어떠한 요인이 노인빈곤가구와 높은 관련성이 있는지를 의사결정나무 분석을 이용하여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예측가능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괜찮은 일자리에서 근무했던 상용직 근로자나 점포가 있는 자영업자 등이 노후에 경제, 건강, 만족도, 문화생활 등과 같은 삶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의사결정나무분석에서는 빈곤가구일수록 세대원수가 적고, 기초노령연금을 신청하며, 주관적 기대감이 매우 낮게 나타나는 규칙을 발견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기존연구에서는 다소 제한적이었던 은퇴이전의 고용성과와 노후 빈곤의 관계를 통계학적 관점에서 입증했다는 점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 of previous employment performances to elderly life, utilizing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KLoSA) collected by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We analyze the data of elderly life and job history to see the relationship between previous job experiences and the quality of elderly life in terms of current financial status, health, and satisfaction in cultural life. This study also investigates what types of employment status are more vulnerable at the end of their life, using decision tree analysis. As expected, our results show that full timers and self-employed with their own stores are more likely to have relatively higher satisfaction in financial, health, and culture life, whereas people with employment status other than those tend to have lower satisfaction in their elderly life overall. In addition, our decision tree analysis reveal that elderly households in poverty are associated with smaller number of family member, higher recipient rate of basic elderly pension, and lower satisfaction in their life.

1. 서론

2. 분석데이터와 빈곤가구

3. 이전의 근로형태에 따른 중고령자의 삶의 질

4. 의사결정나무에 의한 빈곤가구

5. 결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