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마트폰 영상을 이용한 관심전환이 학령전기 아동의 정맥주사시 통증과 주사공포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Distraction by a Smart Phone on Pain and Fear during Venipunture for Hospitalized Preschool Children
- 김정미(Jeoung-Mi Kim) 박현정(Hyun-Jung Park) 양영옥(Young-Ok Yang)
- 한국자료분석학회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 Vol.15 No.3
- 등재여부 : KCI등재
- 2013.06
- 1391 - 1402 (12 pages)
본 연구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관심전환이 학령전기 입원아동의 정맥주사시 아동이 겪는 통증과 주사공포 감소에 효과를 알아보는 비동등성 대조군 사후설계 연구이다. 대상자는 2012년 9월 20일부터 2012년 10월 10일까지 부산시 G 병원에 입원한 3세에서 6세 사이의 학령전기 아동으로 실험군 20명, 대조군 20명이었다. 실험군에게는 정맥주사시 스마트폰을 이용한 관심전환 중재를 제공하고, 대조군에게는 일반적인 간호만 제공하였다. 주관적 통증은 안면통증척도와 시각적 상사척도를 사용하였다. 객관적 통증은 Park(1998)이 개발한 통증행위대조표를 사용하였고, 생리적 통증은 정맥주사 삽입 전, 후 부착한 맥박산소측정기에서 나타난 맥박과 산소포화도의 평균을 측정하였다. 주사공포는 행동관찰체크리스트를 Lim, Shin(2007)이 4점 척도로 구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0을 이용하여 실험군과 대조군의 동질성은 카이제곱검정, t-검정으로 분석하였고, 가설 검증을 위하여 t-검정으로 분석하였다. 결론적으로 스마트 폰의 영상을 이용한 관심전환 중재는 맥박수와 산소포화도의 생리적 반응의 통증 감소에는 효과적이지 못하였으나 행위로 나타난 통증감소에는 효과적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distraction by use of a smart phone on pain and fear during venipunture for hospitalized preschool children. Methods: Forty preschool children aged 3-6 were recruited from one general hospital in Pusan. Participants were assigned to the control to receive usual care or experimental group to receive distraction plus usual care. For the assessment of children’s pain, face scale and mother’s perceptions of their own children’s pain, visual analogue scale were used. For the assessment of physiological response of children’s pain, SPo₂ and pulse rate by pulse oximeter. For the assessment of fear, procedure behavioral checklist developed by Lebaron and Zeltzer was used. Results: Results showed that experimental group demonstrated significantly less pain scores on FACE (t=-4.47, p<.001) as rated by children and on VAS (t=-3.11, p=.004) as rated by their mothers. Experimental group showed also significantly less fear scores (t=-4.74, p<.001). But physiological response is not significant. Conclusion: Distraction by a smart phone for relieving pain and fear during venipunture procedure was effective for the hospitalized preschool children.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 결과
4. 논의
5. 결론 및 제언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