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간호대학생의 성별에 따른 간호전문직관,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의 비교
Comparison among Nursing Professional Values,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by Gender of Nursing Students
- 한국자료분석학회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 Vol.15 No.4
- : KCI등재
- 2013.08
- 2135 - 2148 (14 pages)
본 연구는 남학생의 간호사 지원이 많아지고 있는 현 상황에서 성별에 따른 간호전문직관, 자아존중감, 사회적 지지의 차이를 확인함으로써 미래 간호교육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6개 지역의 8개 3년제 간호과에 재학 중인 685명(남학생 347명, 여학생 338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남학생은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 순으로 간호전문직관과 순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여학생은 사회적 지지만 간호전문직관과 순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성별에 따른 간호전문직관과 사회적 지지의 차이는 없었으나, 자아존중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남녀 대학생 모두 간호전문직관은 학년, 고교교육과정 이수형태, 대학생활 만족도, 간호과 입학동기에 따라 차이가 있었고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간호전문직관이 높았으며, 남학생은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간호전문직관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남학생의 자아존중감이 여학생과 다름을 보여주었으며 본 연구에서 확인된 변수를 토대로 대상자의 특성을 고려한 간호전문직관,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 향상 프로그램이 운영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differences among nursing professional values,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by gender of nursing students in college. A descriptive cross-sectional design was used for this study. The collected data from 685 nursing students (male 347, female 338) in college located in 6 provinces were analyzed with chi-square, t-test, ANCOVA, ANOVA, Scheffé’s test and Pearson correlation on SPSS Win 18.0. Male nursing students ha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than female nursing students on the self-esteem.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cores of nursing professional values and social support by gender. The scores of nursing professional values differed significantly by grade, type of high school, satisfaction of college, and reasons for selecting nursing major in both group. There was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nursing professional values and social support in both group and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nursing professional values and self-esteem in male students. According to the results, nursing professional values of nursing students could be improved by enhancing social support and considering the affecting factors by gender.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논의
5. 결론 및 제언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