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3061.jpg
KCI등재 학술저널

감정노동과 직무만족도의 관계에서 임파워먼트와 자율성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Emotional Labor on Job Satisfaction of Nurses: Mediating Role of Empowerment and Autonomy

  • 58

본 연구는 간호사의 감정노동이 임파워먼트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임파워먼트와 자율성의 매개효과를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서술적 조사로 지방 소재의 대학병원에서 6개월 이상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를 보면, 감정노동 정도는 3.14점이었으며 감정표현의 빈도가 가장 높았고 감정표현의 강도가 가장 낮았다. 임파워먼트는 3.43점, 자율성 3.14점, 직무만족도는 3.24점이었다. 감정노동은 임파워먼트, 자율성, 직무만족도와 유의한 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임파워먼트는 자율성, 직무만족도와 유의한 순 상관관계이었으며, 자율성은 직무만족도와도 유의한 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감정노동과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임파워먼트와 자율성이 완전매개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간호사의 감정노동과 관련하여 직무만족도를 증진시키는 프로그램 개발에 임파워먼트와 자율성을 적용함으로써 간호인력관리 및 간호업무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emotional labor on the empowerment, autonomy and job satisfaction among nurses. The subjects are 245 nurses who work for over 6 months in a university hospital. The data were analyzed with WINSPSS 17.0, mediating analysis with hierarchical regression.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the research : The average emotional labor score was 3.13, empowerment 3.43, autonomy 3.14 and job satisfaction 3.24. Th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unit in emotional labor and age, marital status, job position, income, career length in empowerment, autonomy and job satisfaction. The emotional labor had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empowerment, autonomy and job satisfaction. The empowerment had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autonomy and job satisfaction. The autonomy had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job satisfaction. The empowerment and autonomy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emotional labor and job satisfaction. Therefore, it is required to develop the efficiency of nursing work program through job satisfaction related emotional labor including the empowerment and autonomy as human resource strategies.

1. 서론

2. 연구 방법

3. 연구 결과

4. 논의

5.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