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천장관절가동운동이 요통환자의 골반경사각과 통증변화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Sacroiliac Joint Mobilization upon the Improvement of Sacroiliac Joint Dysfunction
- 한국자료분석학회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 Vol.15 No.4
- : KCI등재
- 2013.08
- 2001 - 2009 (9 pages)
본 연구의 목적은 요통을 원인으로 하여 입원한 환자들 중 천장관절 기능부전이 요통의 주원인으로 판명된 환자들을 대상으로 천장관절가동운동을 실시한 후 골반경사각, 천장관절간격의 변화와 요통의 개선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경기 용인의 S병원에 입원한 환자 18명(운동군: n=9, 대조군: n=9)을 대상으로 3주간 천장관절 가동기법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골반경사각과 천장관절간격, 통증척도의 각 군내 전ㆍ후 변화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나타났으며(p<0.05), 군간의 비교에서는 모든 변수에서 운동군에서 유의한 변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통해 볼 때 기존에 보전적인 물리치료방법과 함께 천장관절가동운동 기법을 적용시키는 것이 천장관절 기능부전으로 유발된 요통환자들의 움직임 및 통증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improvements in pelvic tilt, sacroiliac joint interspace and back pain after conducting sacroiliac joint mobilization exercises on hospitalized patients whose back pain are determined to be mainly resulting from sacroiliac joint dysfunction. 18 hospitalized patients at a Yongin-based hospital (exercise group: n = 9, control group: n = 9) were tested with sacroiliac joint mobilization technique for 3 weeks. The test results of pelvic tilt and sacroiliac joint interspace and pain scale for each group showe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 found (p < 0.05), and in comparisons with the group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 found in exercise group. Looking into the results, sacroiliac joint mobilization technique, together with non surgical treatments, will help improve movements and pain of patients with back pains caused from sacroiliac joint dysfunction.
1. 서론
2. 연구방법
3. 결과
4. 고찰
5. 결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