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3061.jpg
KCI등재 학술저널

한국의 복합표본조사 설계와 실제 적용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the Complex Sample Survey Design in Korea: Based on Korean Research Project on the Integrated Exposure Assessment to Hazardous Material for Food Safety (KRIEFS)

  • 37

집단의 특성을 알고자 할 때 효율성과 정확도 측면에서 가장 합리적인 방법은 표본조사라 할 수 있으며 이는 설계 방법에 따라 분석시 고려해야 하는 사항들도 달라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연구에서 이를 간과하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에서는 표본의 설계와 더불어 설계를 고려하여 자료를 분석하여 봄으로써 설계에 따른 올바른 분석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먼저 유해물질 안전관리 통합노출평가기반연구를 위해 복합표본조사를 실시하여 대한민국 성인 대상자에 대한 표본을 구성하였다. 이 때 지역, 성, 연령별 최소 표본수를 할당한 후 여러 단계를 걸쳐 최종으로 성인 2,118명을 표집하였으며 추출된 표본자료는 모집단에 대한 대표성의 확보를 위해 가중치를 고려하였다. 추출된 대상자에게 건강영향 설문 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식품 섭취량 조사, 신체계측조사 및 혈청 검사 등을 시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이용하여 총계, 비율 추정량과, 평균, 회귀계수 추정치의 가중치 및 집락(cluster)과 층(strata)의 적용여부에 따라 분석을 한 결과, 이의 적용 여부에 따라 빈도 및 기초통계량 분석, 회귀계수 추정 결과에 차이가 있었으며 이를 통해 복합표본조사 자료의 분석시, 신뢰할 수 있는 정확한 회귀계수 및 표준오차를 얻기 위해서는 올바른 모형 선택이 필수 불가결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모형의 선택은 해당 연구자의 몫으로 최종 분석 단계 이전에 다양한 모델 적용 후 이에 대한 고민을 통해 가장 타당한 모형을 선택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The most rational method on the sides of effectiveness and preciseness is sample survey when one tries to explore a specific group’s characteristics. Methods of sample design are very diverse, and things to consider in analysis a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methods to be applied. Nevertheless, various studies have overlooked this point. This study suggests the analysis based on it by analyzing actual data. This study constituted a sample consisting of adult Korean subjects by performing a complex sample survey for the sake of a foundational study on the integrated exposure evaluation for safe management of toxic substances. 2,118 adults were sampled via numerous steps after minimal sample numbers were allocated to each area, gender, age, and against the extracted sample data, weights were considered for securing their representativeness for their popula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the weight, it turned out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many results. From this, we can tell that selection of the correct model is essential in order to get credible precise regression coefficients and standard deviations in the analysis of data from a complex sample survey.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2. 복합표본조사의 설계

3. 복합표본의 추출과 분석

4. 결론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