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3063.jpg
KCI등재 학술저널

학교폭력 가해경험 청소년을 위한 학교폭력 재발예방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Recurrence Prevention Program of School Violence for Adolescents with the Experience of Bullying

  • 40

본 연구는 학교폭력 가해경험 청소년을 대상으로 학교폭력 재발예방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학교폭력의 보호요인인 자아탄력성, 자아존중감과 위험요인인 공격성, 우울, 사회적 위축 및 신체증상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의 유사실험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학교폭력 가해경험 청소년 40명으로 실험군 21명, 대조군 19명이며 학교폭력 재발예방 프로그램은 5일간 1일 2회기씩 총 10회기가 운영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을 이용하여 Mann-Whitney U 검정, 독립 t-검정, 짝비교 t-검정, Wilcoxon 부호순위 검정으로 분석하였다. 학교폭력 재발예방 프로그램 적용 후 실험군의 자아탄력성(z=4.231, p<.001), 자아존중감(t=3.635, p=.001)이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공격성(t=-2.538, p=.015), 사회적 위축(t=-2.385, p=.022), 신체증상(t=-4.767, p<.001)은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학교폭력 재발예방 프로그램이 학교폭력 가해경험 청소년의 자아탄력성,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고, 공격성, 사회적 위축, 신체증상을 감소시키므로 학교폭력 가해경험 청소년들의 학교폭력 재발을 예방하는 효과적인 전략으로 활용될 수 있다고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recurrence prevention program of school violence for adolescents with the experience of bullying on ego-resiliency, self esteem, aggression, depression, social withdrawal, somatic symptoms. Participants included 40 adolescents with the experience of bullying were assigned to an experimental group (21) or control group (19). The program was conducted twice a day for a period of 5 day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chi-square test, Fisher’s exact test, Mann-Whitney U test, paired t-test, independent t-test, Wilcoxon signed rank test. Following completion, ego-resiliency (z=4.231, p<.001), self esteem (t=3.635, p=.001) were significantly better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aggression (t=-2.538, p=.015), social withdrawal (t=-2.385, p=.022), somatic symptoms (t=-4.767, p<.001)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refore this approach is recommended as a effective program for prevention of recurrence of school violence for adolescents with the experience of bullying.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논의

5. 결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