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3063.jpg
KCI등재 학술저널

B광역시 지역사회 유방암 생존자의 재활기공 운동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Rehabilitation Program using Qigong Exercise for Breast Cancer Survivors of Community in B City

  • 37

본 연구는 유방암 생존자를 대상으로 재활기공 운동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악력과 면역반응, 심리적 기능인 삶의 질, 우울, 암 대처, 스트레스,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유방암 생존자 35명으로 실험군 17명, 대조군 18명이며 재활기공 운동프로그램은 주 2회, 12주간 운영되었다. 자료는 2012년 6월부터 9월까지 수집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18.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재활기공 운동프로그램은 건측 악력 (t=3.926, p<.001), 환측 악력(t=2.285, p=.033), 면역반응(t=2.523, p=.021), 삶의 질(t=2.838, p=.008), 신체적 안녕(t=2.565, p=.015), 정서적 안녕(t=2.704, p=.011), 유방암 하위영역(t=2.700, p=.012), 우울(z=-2.822, p=.008), 암 대처(t=3.075 p=.004), 개인 내 암 대처(t=2.521, p=.017), 개인 간 암 대처(t=2.598, p=.014), 자아존중감(t=3.420, p=.002)에 긍정적인 영향을 나타내었다. 이에 본 연구의 재활기공 운동프로그램은 지역사회에서 유방암 생존자의 재활을 위한 효과적인 건강증진전략으로 활용할 수 있다고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rehabilitation program using Qigong exercise on grip strength, immune response, quality of life, depression, cancer coping, stress and self-esteem for breast cancer survivors. Participants included 35 breast cancer survivors were assigned to an experimental group (17) or control group (18). The program was conducted twice a week for 12 weeks.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8.0. The results showed that rehabilitation program using Qigong exercise was effective in improving unaffected grip strength (t=3.926, p<.001), affected grip strength (t=2.285, p=.033), immune response (t=2.523, p=.021), quality of life (t=2.838, p=.008), physical well-being (t=2.565, p=.015), emotional well-being (t=2.704, p=.011), breast cancers subscale (t=2.700, p=.012), depression (z=-2.822, p=.008), cancer coping (t=3.075 p=.004), intrapersonal coping (t=2.521, p=.017), interpersonal coping (t=2.598, p=.014), self-esteem (t=3.420, p=.002). Finding from this study indicate that rehabilitation program using Qigong exercise may be an effective health promotion intervention for breast cancer survivors in the community.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논의

5. 결론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