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관적 건강수준과 삶의 질 사이에서의 주관적인 스트레스 수준의 매개역할에 관한 연구
Mediating Role of Subjective Stress Levels between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Quality of Life (EQ-VAS)
- 서혜영(Hye Young Seo) 백종일(Jong Il Baek)
- 한국자료분석학회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 Vol.15 No.6
- 등재여부 : KCI등재
- 2013.12
- 3053 - 3065 (13 pages)
본 연구는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삶의 질(EQ-VAS: euroqol visual analogue scale)의 차이, 주관적 건강수준이 주관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주관적 스트레스가 삶에 질에 미치는 영향 및 주관적 건강수준과 삶의 질(EQ-VAS) 사이에서 주관적인 스트레스수준의 매개역할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데이터는 2010년 지역사회건강조사 데이터 중 전라북도 자료를 이용하였다. 전라북도 대상자 12,668명 중 무응답과 응답거부 등 결측값(115명) 제외하고 12,553명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에 사용한 프로그램은 SPSS 18.0이고 분석방법은 독립표본 t-검정, 분산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주관적 건강수준이 삶의 질(EQ-VAS)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주관적 스트레스가 매개역할을 함을 알 수 있었다. 삶의 질(EQ-VAS)은 성별과 동읍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그러므로 삶의 질(EQ-VAS)를 높이기 위해서는 성별과 동읍에 따라 다른 방법을 찾을 필요가 있다. 이 논문의 주장은 주관적(건강, 스트레스)인 것이 삶의 질(EQ-VAS)을 상당부분 좌우하고 있음이다.
The aim of the study is to find out the difference quality of life and the influence of subjective health status on subjective stress and quality of life (EQ-VAS: euroqol visual analogue scale). The level of subjective health is affect the EQ-VAS and subjective stress is found to be a mediating role. Data were collected from 2010 community health survey in Jeonbuk. Of 12,668 data, 115 incomplete data were deleted and 12,553 were analyzed. As a result, the level of subjective health was affected the EQ-VAS and subjective stress was found to be a mediating role. EQ-VAS was difference depending on the gender and dong/eup.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the EQ-VAS, depending on gender and dong/eup need to find another way. Argument of this paper is subjective (health, stress) that it is the quality of life that is left is a large part.
1. 서론
2.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3. 연구 결과
4. 논의
5. 결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