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3065.jpg
KCI등재 학술저널

B시 고등학생의 SNS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SNS Addiction in High School Students in B City

  • 47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SNS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여 SNS 중독 예방을 위한 효과적인 중재를 개발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자는 고등학생 350명으로 자료는 2013년 7월2일부터 7월19일까지 수집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18.0을 이용하여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일반적 특성에서는 일 평균 SNS 사용시간, SNS 1회 접속시 평균시간, 주요 정서적 변수에서는 SNS 이용과 관련된 심리적 문제, 사회불안, 우울, 스마트폰 중독이 SNS 중독의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요인들은 청소년 SNS 중독을 57.7% 설명하였다. 즉, 일 평균 SNS 사용시간이 많을수록(β=.192, p<.001), SNS 1회 접속시 평균시간이 많을수록(β=.085, p=.001), SNS 이용과 관련된 심리적 문제(β=.528, p=<.001), 사회불안(β=.089, p=.047), 우울(β=.090, p=.045), 그리고 스마트폰 중독정도(β=.218, p=<.001)가 심할수록 고등학생의 SNS 중독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예측되었다. 따라서 고등학생의 SNS 중독과 관련된 정서적 변수를 고려하여 SNS 중독예방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함으로써 체계적인 관리가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factors influencing SNS addiction of high school students for providing the basic data to develop SNS addiction prevention program.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350 high school students in B city from July 2 to 19, 2013 and analyzed with t-test,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by using SPSS 18.0 program. The significant factors of SNS addiction were average using time daily (β=.192, p<.001), using time per SNS connect (β=.089, p=.047), psychological problems (β=.528, p=<.001), social anxiety (β=.089, p=.047), depression (β=.090, p=.045), smartphone addiction (β=.218, p=<.001). And these factors explained 57.7% of the variance in SNS addiction. In conclusion, the results from this study indicated a need to develop the intervention program to prevent SNS addiction.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논의

5. 결론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