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3065.jpg
KCI등재 학술저널

항암화학요법 환자의 구강자가간호 증진프로그램이 구내염 예방과 구강간호수행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Oral Self-Care Promoting Program for Cancer Patients Receiving Chemotherapy

  • 134

본 연구는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환자에게 구강자가간호 증진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구내염 예방과 구강간호수행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시도된 비동등성 전후설계의 유사실험연구이다. 2012년 2월 9일부터 10월 31일까지 강원도 C시의 K 대학병원에서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입원 환자로 실험군 16명, 대조군 19명이 연구 대상자이다. 구강자가간호 증진 프로그램은 항암화학요법 전과 퇴원 전 구내염 예방법과 생리식염수를 이용한 구강함수 방법 교육과 구강관찰기록지 기록 방법 설명, 및 퇴원 후 10일째의 전화상담으로 구성되었다. 구강간호 수행은 양치질과 구상함수 수행으로 측정하였으며, 구내염 정도는 입술, 구강점막, 잇몸, 혀, 식사종류, 타액, 연하능력의 7개 항목에 대해 4점 척도로 14일 간 측정하였다. 본 연구결과 구내염은 항암화학요법 7일째 가장 심했으며, 실험군은 25.43점, 대조군은 22.32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F=10.657, p=.137). 구강간호 수행을 보면, 실험군이 양치횟수(F=30.27, p=.001)와 구강함수 횟수(F=37.88, p=.001)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따라서 구강자가간호 증진프로그램은 구내염 예방과 구강간호 수행 증진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였으며 향후 적극적인 활용이 요구된다.

The data was collected in K University Hospital, Kangwondo, Korea, from February 9 through October 31, 2012. The oral self-care promoting program included individual education before chemotherapy and before discharge, and the telephone counseling on the 10th day after chemotherapy. Oral mucositis was the most serious on the 7th day after chemotherapy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nd mucositis scores of the two groups were 25.43 point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22.32 point of the control group, showing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10.657, p=.137). The frequency of tooth brushing by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by the control group (F=30.27, p=.001). Also, the frequency of oral gargling by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by the control group (F=37.88, p=.001). The oral self-care promoting program provided for patients receiving chemotherapy was found to be effective for the prevention of oral mucositis.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논의

5. 결론 및 제언

Reference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