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3065.jpg
KCI등재 학술저널

지역별 산업분류별 기업생명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Business Life Table by Regions and Industries

  • 5

기업생명표는 인간 수명의 지표인 생명표 작성방법을 기반으로 개발되었다. 생명표는 보건ㆍ의료 정책개발의 기본지표로 활용되고 있으므로 기업생명표도 정부의 기업지원 정책 개발의 근간이 될 수 있는 중요한 지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업의 설립일과 폐업일 그리고 소재시도와 업종코드를 이용하여 기업생명표를 지역별, 산업별로 세분화하여 작성하였다. 먼저 기업생명표의 비교를 통하여 기업수명이 지역별, 산업별로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하였으며 가변수를 이용한 회귀분석으로 1999년부터 2011년까지 기업평균수명의 변화양상이 지역별, 산업별로 차이가 있는지를 검정하였다. 검정 결과에 기반 하여 지역별, 산업별로 기업평균수명의 수준, 변화속도가 통계적으로 같은 경우에 대하여 그룹화 하였다. 16개 시도 중 12개 지역이 3개의 그룹으로 분류되었으며, 7개 산업 중 4개가 두 개의 그룹으로 분류되었다.

Business life table was developed based on method for developing life table reflecting characteristics for human mortality. Since the life table is used as an important standard of developing health care policies, the business life table will be also a significant standard of developing government policies for business support. In this study, we constructed business life tables specified by regions or industries using surviving period data of businesses. In order to find differences in average business life expectancy, we tested hypothesis using regression model with dummy variables to show differences in average business life expectancy of regions or industries from 1999 to 2011 at level and aspect of change. Based on the hypothesis test results, we could make groups having as statistically same business average life expectancies at level and aspect of change. As 16 regional business average life expectancies, we could make 3 groups using 12 regional business average life expectancies. For 7 industrial business average life expectancies, we could classify 2 groups using 4 industrial average business life expectancies.

1. 서론

2. 기업생명표와 관련된 기존 연구 내용

3. 지역별, 산업별 기업생명표 작성을 위한 자료

4. 시도별, 산업분류별 기업생명표

5. 기업평균수명의 수준과 변화양상 차이 분석

6. 결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