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3066.jpg
KCI등재 학술저널

한국어 시각 단어 처리 관련 변인을 반영하는 사건관련 뇌파 파형

ERP Waveforms Reflecting Variables Affecting Korean Visual Word Recognition Processes

  • 27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단어 처리에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진 변인들을 반영하는 사건관련 뇌파(ERP-event related potential) 파형을 살펴보는 것이다. 국내외의 연구들에서 단어의 첫 두 철자 빈도, 음절 빈도, 표기 이웃 크기 등과 같은 변인들이 단어재인과정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또한 국외 연구들에 따르면 두 철자 빈도에 따른 사건관련 뇌파의 변동이 100-200ms 시간대에서 관찰되며, 음절 빈도는 200-300ms 시간대, 그리고 표기 이웃 크기는 300-500ms 시간대에서 나타난다. 그러나 한국어의 경우 일반적으로 많이 연구된 영어권 국가의 철자 표기방식과는 달리 자음과 모음을 모아쓰는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시각 단어재인 변인들을 반영하는 ERP 파형의 과정이 다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실험 참가자 30명을 대상으로 동물 및 사물 이름 단어 100개를 재인할 때 발생하는 뇌파를 분석하여 시각 단어재인 변인들을 반영하는 ERP 파형이 국외 연구와 동일한지 비교하였다. 두 철자 빈도, 음절 빈도, 표기 이웃 크기를 독립 변인으로 한 다중회귀분석법을 사용한 결과 한국어 단어의 경우 두 철자 빈도와 음절 빈도가 약 250-350ms에서 발생하는 ERP 파형에 영향을 주었으며, 표기 이웃의 크기는 350-500ms에서 발생하는 ERP 파형에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한국어의 모아쓰기 방식이 시각 단어재인 시 다른 알파벳 언어와는 다른 처리 과정을 유발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whether the ERPs created by bigram frequency, syllable frequency and orthographic neighborhood density in Korean visual words were correspond to the results from other alphabetic language studies. According to previous alphabetic language studies with English, the bigram frequency affects the modulation of ERP waveform in 100-200ms, the syllable frequency influences the change of ERP waveform in 200-300ms, and the orthographic neighborhood density induces the modulation of ERP waveform in 300-500ms. However, unlike other alphabetic languages, Korean writing system is based on syllables. Such distinct characteristics might bring different patterns of results in ERPs. To investigate such possibility, the present study collected EEGs from 30 participants while they read 100 words list composed of animal and object names. The results showed that both bigram and syllable frequency of a word elicited the modulation of ERPs in 250-350ms while orthographic neighborhood density affected the modulation of ERPs in 350-500ms. The present study suggested that there might be qualitative difference between ERPs reflecting Korean visual word recognition processes and ERPs reflecting other alphabetic languages.

1. 서론

2. 연구 방법

3. 결과

4.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