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직공정성 통합연구
A Meta-Analytic Review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Justice and Outcome: Cultural Difference between Korean and North American
- 한국자료분석학회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 Vol.16 No.3
- : KCI등재
- 2014.06
- 1445 - 1457 (13 pages)
본 연구의 목적은 메타분석을 통해 조직공정성(분배공정성, 절차공정성)과 주요 결과변수(직무만족, 조직몰입, 조직시민행동)간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보다 객관적이고 포괄적인 국내 조직공정성 연구 경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또한 국내 조직공정성 메타분석 연구결과를 북미권 메타분석 결과와 비교하여 조직공정성이론의 일반화 가능성 및 문화적 차이에 대해 연구하였다. 메타분석 결과, 직무만족은 절차공정성에 비해 분배공정성과 더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고 조직몰입과 조직시민행동은 절차공정성이 분배공정성보다 더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메타회귀분석 결과, 직무만족은 절차공정성보다 분배공정성의 영향이 더 크고 조직몰입과 조직시민행동은 분배공정성보다 절차공정성의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와 북미의 메타분석 결과를 비교한 결과, 조직공정성과 조직몰입 간의 관계가 국내보다 북미가 더 높고 조직공정성과 조직시민행동 간의 관계는 북미보다 국내가 더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직무만족의 경우 분배공정성과 직무만족의 관계는 한국이 더 높은 반면, 절차공정성과 직무만족의 관계는 미국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Based on organizational justice 2 factor model and group value model, this study argued that organizational justice will be related with outcome positively. Also considering Korean organizational culture, this study posited that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justice on outcome in Korea may be lower than North America. Results of the meta analysis suggest that the effect of distributive justice on job satisfaction tends to be greater than the effect of procedural justice. But the effect of distributive justic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ends to be lower than the effect of procedural justice. The effect of justic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ends to be greater in Korea than North America. On the other hand, the effect of justice on outcome variables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end to be greater in North America rather than in Korea. The relationship between distributive justice and job satisfaction is stronger in Korea than North America,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procedural justice and job satisfaction is stronger in North America rather than Korea.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결론 및 논의
Refer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