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3066.jpg
KCI등재 학술저널

원유가격 충격이 미국과 BRICS 국가의 생산자물가지수에 미치는 영향 분석

The Impact of WTI Crude Oil Price on the Producer Price Index of US and BRICS Countries

  • 1

본 연구는 WTI 원유가격과 미국과 BRICS 국가(브라질, 러시아, 인도, 중국,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생산자물가지수 사이의 단기적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벡터자기회귀(VAR) 모형을 이용한 실증분석 결과, 대부분의 국가에서 WTI 수익률이 생산자물가지수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원유가격 상승이 생산자물가를 상승시키는 정도는 러시아, 미국, 중국에서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는데, 미국과 중국의 경우는 원유 수입이 많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그렇지만 생산자물가지수가 WTI 수익률에 미치는 영향은 대부분 미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러시아의 경우에는 WTI 수익률과 생산자물가지수가 양방향으로 서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러시아가 산유국이기 때문에 자국내 생산자물가지수가 원유가격에 영향을 주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충격반응함수를 통한 분석에서도 WTI 가격 충격이 생산자물가지수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주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전체적으로 볼 때 원유가격이 생산자물가지수에 상당한 영향을 주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만약 국제유가가 상승하면 생산자물가 상승이 이어지고 그것이 소비지출 감소와 투자 위축을 유발하여 실물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mpact of WTI crude oil price on the producer price index (PPI) of US and BRICS (Brazil, Russia, India, China, South Africa) countries using a VAR (vector autoregressive) model. According to VAR empirical results, WTI price positively affects the PPI of most countries, implying that the increase in WTI price leads to increase in PPI. More specifically, PPI of Russia is the most sensitive to WTI price, and followed by US and China. Both US and China is the largest oil consumer countries around the world, so that they depend on the risk of WTI price changes. However, most countries’ PPI have little impact on the WTI price except for the Russia case. The Russia has a bi-directional impact between the PPI and WTI price because Russia, oil-product country, affects the crude oil prices. In addition, the results of impulse response function indicate that oil price shocks on PPI persist in several months, implying the US and BRICS countries’ industries depend on the price change of crude oil price. This finding indicates that the increase in crude oil prices leads to a high inflation, resulting the contraction of consumer expenditure and investment and then this effect leads to real economy recession.

1. 서론

2. 실증분석 표본자료

3. 실증분석 방법

4. 실증분석

5. 결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