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등학생들의 생활 및 학업 스트레스 실태조사에 대한 통계적 분석
Statistical Analysis for Survey of Life and Academic Stress of High School Students
- 이정진(Jeong-Jin Lee) 윤기영(Ki-Young Yun) 손창균(Chang-Kyoon Son)
- 한국자료분석학회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 Vol.16 No.4
- 등재여부 : KCI등재
- 2014.08
- 1925 - 1936 (12 pages)
고등학생들은 학업에 대한 많은 스트레스를 받고 있으며, 그 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들이 연구되고 언론을 통해 발표되고 있다. 학업에 대한 스트레스의 정도와 그 해소방안이 학기 초와 시험기간 이전과 이후에 따라 상당한 차이와 변화가 있지만, 이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들이 느끼는 학업에 대한 스트레스 정도와 그 해소방안 및 일반 생활(휴대폰 사용시간, 공부시간, 수면시간, 운동시간, 가족과의 대화시간 등)의 변화를 학기초, 중간고사 이전과 이후, 기말고사 이전 기간으로 나누어 살펴보기 위하여, 고등학생 패널을 구축하여 패널조사를 실시하였다. 4차에 걸쳐(3월부터 6월까지) 조사된 패널자료를 분석한 결과, 고등학생들의 학업에 대한 스트레스의 정도와 그 해소방안이 학기초와 시험기간 이전과 이후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또한 많은 학생들이 운동을 통해 학업에 대한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Many high school students feel overwhelmed by academic stress, and many authors have research and publish for reducing it. The degree of academic stress and the way of reducing it are different from the beginning of the semester and examination period, but the research about it not good enough. This paper presents that the panel study to study of change of degree of academic stress by four waves (the beginning of semester and before and after examination periods) conducts a survey of 30 sophomores in P-high school students who asking of the degrees of academic stress and everyday life including cell phone use time, study hours, sleep hours, spending time per an exercise and conversation time among family members. As a result, it is different from the degree and way of reduction of academic stress of high school students between the beginning of semester and before and after examination periods. Also, many students take exercise to reduce the academic stress by themselves.
1. 서론
2. 연구방법
3. 기초통계분석
4. 통계적 가설 검증
5. 결론 및 토의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