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노인의 실용무용 참여가 신체상 및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 of Practical Dance Participation of the Aged on Body-esteem and Self-efficacy
- 한국자료분석학회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 Vol.16 No.5
- : KCI등재
- 2014.10
- 2661 - 2671 (11 pages)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실용무용 참여가 노인의 신체상 및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부산ㆍ경남에 거주하며 지역내 노인복지관과 주민자치센터, 노인문화대학, 경로당 등에서 실시하는 실용무용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65세 이상 총 37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주요 연구 도구는 설문조사법으로 노인들의 신체상(body-esteem), 자아효능감(self-efficacy)의 도구였다. 수집된 자료는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 검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첫째, 노인들의 실용무용 참여는 노인들의 신체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들의 실용무용 참여는 노인들의 자아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인들의 실용무용 참여노인들의 신체상은 자아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노인의 실용무용 참여의 결과를 가지고 노인들의 건강증진 및 삶의 질적 향상과 행복을 추구하는 성공적인 노화에 초점을 맞출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practical dance participation of the aged on body-esteem and self-efficacy. The study subjects were 375 aged with over 65 years old who lived in Busan and Gyeongnam area and who participated in the practical dance program carried out in the senior welfare centers, community center, senior culture college and senior citizen center. The major research tool was a questionnaire survey method on the body-esteem and self-efficacy of the age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Win 21.0 program for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verific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below. Firstly, the participation of practical dance of the aged had effect on body-esteem. Secondly, the participation of practical dance of the aged had effect on self-efficacy. Thirdly, body-esteem of the participation of practical dance of the aged had effect on self-efficacy. The findings of the research of the participation of practical dance of the aged could be used as basic resources for successful aging seeking healthy life, improvement of quality of life and happy life.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논의
5. 결론 및 제언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