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업혁신과 발생액 정보의 관련성 분석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irm’s Innovation and Accruals
- 안홍복(Hong Bok Ahn)
- 한국자료분석학회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 Vol.16 No.5
- 등재여부 : KCI등재
- 2014.10
- 2563 - 2576 (14 pages)
본 연구는 기업혁신에 대한 발생액의 정보 가치를 분석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기업혁신에 대한 정보를 총발생액 중 경영자의 의도 또는 기회주의적 동기가 낮은 비재량적 발생액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발생액은 오랜 기간 회계학 분야에서 주목받아 왔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기업의 혁신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경제적 결과가 발생액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가를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표본은 우리나라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2000년부터 2007년까지 총 2,370개 기업으로 구성하였다. 분석결과는 기업혁신과 비재량적 발생액 사이에 유의한 양(+)의 관련성을 확인하였고, 이러한 비재량적 발생액과 기업혁신의 관련성은 그 동안 재량적 발생액에 비해 상대적으로 주목받지 못한 비재량적 발생액의 정보가치에 대한 새로운 연구 시각을 제공한다고 할 수 있다. 분석결과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첫째 총발생액과 기업혁신 사이에 유의한 관련성이 존재하였고, 이는 기업의 혁신성과에 대한 정보를 총발생액이 포함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핵심가설인 비재량적 발생액과 기업혁신의 관련성은 이러한 결과는 기존 선행연구에서 혁신에 대한 또 다른 대리변수로 주장되고 있는 B/M 변수를 포함한 경우에도 동일하게 유지되었다. 또한 본 연구는 다양한 민감도 분석을 통해서도 경영자의 기회주의적 의도가 배제된 비재량적 발생액과 기업혁신 사이에 유의한 관련성이 존재하였다. 특히, 이러한 실증 결과는 비재량적 발생액의 정보가치에 대한 새로운 가능성의 확인으로 자본시장에서 회계정보를 통해 기업혁신의 관찰이 가능함을 보여준다.
This study examines whether accruals have information effect on firm’s innovation. Specifically, this paper verifies whether accrulas (nondiscretionary accruals) has a relations on the innovation activity of company. For many years, accruals has been important thesis in accounting fields. This paper expects accruals can arose business innovation and then this can promote their revenue and productivity. The study sample is composed of 2,350 firms with non-finance firm, listed on the Korea Stock Exchange in 2000 through 2007. The estimated coefficients for model 1~7 are in accordance with expect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 that on average change of firm’s innovation impact ha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nondiscretionary accruals. In addition, we got the similar results from the analysis based on the sensitive tests. This is consistent with firm’s innovation capturing firm’s growth capabilities, a key driver of accruals information. Also, this is consistent with the role of accruals information as driver of firm’s growth. Taken together,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nondiscretionary accruals reflects the mapping from firm’s innovation activities to profit realization in future. The results of this paper are likely to be of interest to firms that managed innovation activity since the results provide insights on how accruals responds to innovation from firms.
1. 서론
2. 이론적 배경과 연구가설
3. 실증분석의 설계
4. 실증분석 결과
5. 결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