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3069.jpg
KCI등재 학술저널

장소브랜드 태도 및 태도 확신이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부산 영도다리 방문객을 대상으로

  • 12

본 연구는 관광지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가 재방문이라는 결과행동과 반드시 항상 일치되지 않는다는 문제제기를 통해 이에 대한 해결 대안으로서 관광객의 관광지 평가척도인 태도 확신 개념을 제안하고, 이를 실증분석 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관광지 장소로는 최근 복원된 부산의 관광명소인 영도다리를 선정하였고, 조사대상은 부산 영도다리 방문객으로 한정하였으며, 총 118부의 설문지를 최종분석에 이용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첫째, 영도다리에 대한 긍정적 브랜드 태도는 재방문의도를 높이는데 유의하게 나타났다. 둘째, 태도와 행동간 불일치를 줄이고자 태도 확신을 측정하는 태도-확신 지수를 이용하여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장소브랜드 태도와 태도-확신 지수의 두 변수를 독립변수로 해서 종속변수인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태도-확신 지수 변수만이 재방문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관광지 재방문에 대한 예측을 위해서는 태도 확신이 장소브랜드 태도보다 유용한 변수임을 나타내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향후 태도 확신 개념을 활용한 보다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o the knowledge of how place brand attitude and attitude certainty influences revisit intention in the tourism industry. To achieve this goal, 119 valid copies of questionnaire collected from visitors at Busan Yeongdo Bridge from May 1 to June 10, 2014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by utilizing SPSS 20.0 programs. Factor analysis and Cronbach’s α analysis were conducted to examine reliability and validity. The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lace brand attitude (β=0.697, t-value=10.459, p<0.01) has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revisit intention. Second, attitude certainty index (β=0.714, t-value=10.997, p<0.01) has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revisit intention. Third, the multiple regression results indicate that attitude certainty index (β=0.534, t-value=2.879, p<0.01) has a greater influence on revisit intention than place brand attitude (β=0.166, t-value=0.894, p>0.05) does.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실증 분석

5. 결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