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회과학분야의 구조방정식모형에서 매개효과 검정 방법에 대한 논의
Discussion on Mediation Test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 in Social Science Field
- 한국자료분석학회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 Vol.16 No.6
- : KCI등재
- 2014.12
- 3121 - 3131 (11 pages)
본 연구는 사회과학 연구에서 보편적으로 활용되는 있는 매개효과 검정 과정에 있어 회귀분석을 활용한 접근과 구조방정식모형을 활용한 접근에 있어 차이점을 논의한 후, 특히 구조방정식모형을 활용한 매개효과 검정 과정에서 나타나는 문제점과 이에 대한 보완방법으로 Holmbeck (1997)에 의해 제안된 매개효과 검정과정에 대해 고찰하고 있다. 기존연구에서 회귀분석을 활용한 매개효과 검정은 Baron, Kenny(1986)의 3단계 검증 과정을 통해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구조방정식모형의 매개효과 검정에서도 Baron, Kenny(1986)의 3단계 과정에 기초하여 분석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검증과정에 있어 매개효과 유형 미고려로 인한 매개변인의 중요성에 대한 과소 및 과대평가, 매개효과 검증 과정에서 총효과 검증 부재로 인한 매개효과 연구결과에 대한 편의 가능성이 내포되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구조방정식모형에서 매개효과 검증시 위계적 chi²검증과 Holmbeck(1997)의 매개효과 검정단계를 제안한다. 특히 총효과 검증과 관련하여 총효과 검증 부재 및 총효과 유의성 검증 미고려와 매개변인 배제모형과 매개변인 추가모형 비교에 활용되는 적합도 지수의 타당성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이러한 논의는 향후 구조방정식모형을 활용한 매개효과 연구에 있어 연구결과의 편의 가능성을 사전에 보완하여 연구의 신뢰성 확보에 기여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This article discusses about the difference of mediation procedures, in regression and in structural equation model, which universally applied in social science field. And then, we review both limitations in previous mediation studies applie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give an alternative suggested by Holmbeck so as to improve reliability of mediation studies analyzed by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procedure for mediation test in the previous studies was mostly applied in the approach suggested by Baron, Kenny (1986). In addition, in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mediation tests was proved on the basis of approach by Baron, Kenny (1986), but both limitations of previous studie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 are 1) non-consideration of mediation types (full, partial) which will evokes the importance of mediator’s under or over-estimation, 2) non-test of total effects which are enable to make a bias of mediation results. With regard to the non-test of total effects, there are both issues; validity of fit index in comparison of non-nested model, and non-consideration of significance on total effect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contribute to advance the reliability of research result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
1. 서론
2. 매개효과 검정
3. 결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