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3071.jpg
KCI등재 학술저널

애널리스트의 투자의견변경이 주가에 미치는 영향

시장상황변화에 따른 주가단기반응을 중심으로

  • 10

본 연구는 국내외 증권사에 소속된 애널리스트들이 발표한 분석보고서를 대상으로 이들의 투자방향(상향, 하향) 및 목표주가(상향, 하향)와 같은 투자의견변경에 대해 시장상황에 따라 주가가 단기적으로 어떤 반응을 보이는 지를 분석한 것이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에 대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애널리스트가 투자의견을 ‘상향’으로 변경하면 해당 주식들은 강세, 횡보, 약세 등 시장상황에 상관없이 양(+)의 비정상적인수익률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투자의견을 ‘하향’으로 변경하면 음(-)의 비정상수익률을 보였다. 다만 ‘상향’인 경우 시장상황이 강세일 때 비정상수익률이 횡보나 약세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향’인 경우에는 약세시장일 때가 강세나 횡보에 비해 비정상수익률의 크기가 음(-)의 방향으로 높은 결과를 보였다. 다음으로 애널리스트가 투자의견을 상향(하향)으로 변경했을 때 주가는 투자의견 변경일 기준으로 -2일(-1일)부터 +1일까지 상승(하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애널리스트의 투자의견변경에 대한 정보가 발표일 이전에 이미 주가에 반영되는 것으로 정보누수 현상의 발생 가능성을 생각해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업종조정모형을 사용했을 때 주가의 반응은 시장조정모형에 비해 전체적으로 상승과 하락의 폭이 작은 것은 나타났지만, 전체적인 결과에 있어서는 큰 차이점을 보이진 않았다.

This research empirically look into the short-term reaction of the stock price of both foreign and Korean domestic analysts’ investment recommendation change on stock market states. The investment recommendation are subject to revisions of investment direction (buy, sell) and target prices (upgrade, downgrade). Using the event study method, this paper measured average abnormal returns and cumulative average abnormal returns from -2 days to +2 days around the revision announcement date.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when analysts changed their stock recommendations or target stock prices upward (downward), stock prices increased (decreased) significantly without reference to stock market states. Second, analysts revised investment recommendation buy (sell) or target prices upward (downward), stock prices continued to rise (fall) mostly starting from -2 days to +1 day based on the event date. This result appears to imply that the information had been already leaked before the announcement was made.

1. 서론

2. 연구방법 및 자료

3. 실증분석

4. 결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