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3071.jpg
KCI등재 학술저널

트위터 데이터를 활용한 부산국제영화제(BIFF)의 글로벌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분석

Global Communication Network Analysis of B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BIFF) 2014 Using Twitter Data

  • 153

이 연구의 목적은 트위터를 통해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규모의 국제영화제인 부산국제영화제에 대해 세계인들이 갖는 인지도와 관심도를 조사·분석하는 것이다. 분석 데이터는 노드엑셀을 이용하여 2014년 제19회 부산국제영화제 기간과 폐막 후 일주일 기간 동안 매일 트위터를 수집하였다. 먼저, 영화제 네트워크의 글로벌 커뮤니케이션 구조는 어떠한지 알아보았다. 다음으로, 수집된 데이터의 위치 정보를 활용하여 부산국제영화제와 관련된 검색어를 언급한 트위터 사용자의 국가별 네트워크 구조와 중심성을 분석하고, 문화적 근접성과 트위터 보급률, K-POP 확산도 지표를 이용하여 부산국제영화제 언급과 상관성 여부를 알아보았다. 이를 통해 앞으로 영화제의 전략적 홍보방법에 대한 시사점을 살펴볼 것이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트위터에서는 특정한 한류 스타의 영향으로 인한 영화제에 대한 구전효과가 있었고, 태국을 비롯한 아시아 국가에서 비교적 관심이 높았다. 그리고 비(非)아시아권이지만 K-POP이 확산된 미국에서도 많은 트윗이 발생되고 있었다. 본 연구가 도움이 되어 매년 규모가 확대되는 부산국제영화제의 국제적 관심이 높아지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provides a network analysis of Twitter discussions on biggest international film festival, BIFF, in South Korea to promote the festival around the world. The data have been collected during the BIFF period and a week after the closing ceremony. The NodeXL, a software using Twitter API, was used to search tweets related to the BIFF, calculate network metrics, and construct network diagrams. According to the results, official BIFF twitter account showed the highest betweenness centrality. However, a K-POP fan played a pivotal role of disseminating a number of BIFF-related tweets. The most-produced tweets came from the disclosed. Thailand and South Korea followed. Interestingly,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BIFF-related twitterians and K-POP penetration rate per country. This study is expected to increase international attention to for the BIFF by selecting the best and most efficient way to promote the festival.

1. 서론

2. 문헌검토 및 연구문제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결론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