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3071.jpg
KCI등재 학술저널

한국 중년 서글픔 측정도구의 타당도 평가

The Validation Study of an Instrument to Measure Seoguelpeum in the Korean Middle Aged

  • 6

본 연구의 목적은 Gu(2012)의 한국 중년의 서글픔 측정도구의 타당도를 평가하고자 함이다. 연구 대상은 우리나라에 거주하는 중년 남, 녀 323명이며, 2014년 9월 19일부터 11월 12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산 통계 처리하였다. 측정도구의 수렴 및 판별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다속성-다문항 매트릭스분석을 실시하였다. 동시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Pearson 적률상관계수를 구하였다. 신뢰도를 검정하기 위해 Cronbach s alpha 계수를 구하였다. 연구 결과 한국 중년의 서글픔 도구(Gu, 2012)는 각 요인에 포함된 문항들과 요인간의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상관계수가 모두 .40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나(.596~.885) 수렴타당도를 만족하였고, 모든 문항들이 소속된 요인과의 상관계수가 소속되지 않은 요인과의 상관계수 보다 큰 것으로 나타나 판별타당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화불안도구와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r=.603, p<.001)로 나타나 동시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신뢰도 검정에서 서글픔 도구의 내적일관성 Cronbach s alpha .942이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Gu(2012)에 의해 개발된 한국 중년의 서글픔 측정 도구는 타당도와 신뢰도가 높은 도구임을 검증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intended to test validation study of an instrument to measure seoguelpeum in the Korean middle aged. The study is a middle-aged male and female 323 people living in the Korea, 2014 September 19 to November 12 conducted a survey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The collected data were processed using a computerized statistical program SPSS Win 21.0. Mean and percentage were calculated in order to determin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In order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measurement tools to determine convergent and discriminative - multitrait/multiitem matrix method was performed. Pearson s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obtain in order to verify the concurrent validity, Cronbach s alpha coefficient was calculated in order to verify reliability. The results were verifying the convergent and discriminative validity of the seogeulpeum tools (Gu, 2012), Korea middle-aged seogeulpeum tool (Likert scale) and the aging anxiety tool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ed (r=.603, p<.001) was found.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was Cronbach s alpha value of .942. In conclusion, this instrument demonstrates good reliability and validity, and therefore it is an appropriate measurement of seogeulpeum in the Korean middle aged.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논의

5.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