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홍낙순 문학론 연구

-18세기 중반 청류계 문인들의 문예론과 관련하여-

  • 54

본 연구는 홍낙순의 문학론을 통해 18세기 중반 청류계 문인들의 문예적 지향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홍낙순은 당송의 문장을 전범으로 삼고 그 법도를 학습하는 데 급급한 당대의 문단에 대해 비판하며, 문장의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선진양한의 문장, 특히 사기를 문장의 전범으로 세워야 한다고 거듭 강조하였다. 그는 반복된 독서를 통해 선진양한 문장의 기(氣)와 의(意)를 획득하고자 노력하였다. 한편으로는 재도론을 표방하며 구체적인 사실과 평탄한 언어로 보편적 이치를 표현할 것을 추구하였다. 이러한 그의 문학론은 이윤영, 이인상으로 대표되는 노론 청류계 문단의 예술 담론과도 상통한다. 이들의 상고적, 재도적 문예론은 청류계 문인들의 보수적 현실 세계관을 반영하는 것이면서도 문예의 전념하는 자신들의 삶을 옹호하는 근거로 활용될 수 있었다. 18세기 중반 노론 청류계 문단은 노론계 문단의 세부적인 구도와 문학론의 변이 양상을 살펴보고 연암그룹 문학의 연원을 밝힐 수 있는 단서로 활용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literary theory of Cheongryu group in the mid 18th century, focusing on the literature theory of Hong Nak-sun. Hong Nak-sun s literary theory is meaningful in that it shows the background and unfolding aspect of ancient prose(古文) theory in Joseon. He criticized the literary worlds of those days, which was enthusiastic to study the expressional techniques by applying the writings of Dang-Song as a prime example. In order to raise the level of writing, he emphasized the writings of Qin-Han, especially Shiji, as a prime example. He has repeatedly read the writings of Qin-Han to acquire Energy(氣) and Thought(意). In addition, he advocated Jaedoron (載道論) and pursued to express universal ethics in concrete facts and plain style. Such literary theory is similar to the art theory of the Noron Cheongryu literary group represented by Lee Yun-young and Lee In-sang. These antiquarianism and moral literary theories reflected the conservative view of the Cheongryu literary group, and at the same time, they were sometimes used as the basis for advocating their lives by being dedicated to literary arts. Cheongryu literary group can be used as a clue to see the detailed composition of Noron literary group and the changing aspect of literary theory and reveal the origin of Yeongam group literature.

1. 서론

2. 18세기 중반 청류계 문단과 홍낙순

3. 홍낙순의 문학론의 특징시

4. 18세기 중반 청류계 문단과 관련하여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