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3070.jpg
KCI등재 학술저널

만성신체질환자의 정신건강과 자기효능감, 자존감 및 정서적 지지

Mental Health, Self-Efficacy, Self-Esteem and Emotional Support of the People with Chronic Physical Illness

  • 30

본 연구는 강원도 일 도시 지역 만성신체질환자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자기효능감과 자존감, 정서적 지지를 중심으로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2013년 11월 18일부터 11월 29일까지 행해진 설문지 조사에서 병원으로부터 진단받고 6개월 이상 치료 또는 관리 중인 95명의 만성신체질환자를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SAS통계프로그램(Ver 9.1)을 사용하여 빈도(frequency), t검정(t-test), 분산분석(ANOVA), 피어슨 상관분석(Pearson correlation analysis) 및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단변량 분석에서 정신건강과 유의한 관련을 나타내었던 성별(t=2.72, p=.008), 결혼상태(t=2.40, p=.018), 교육수준(F=4.86, p=.010), 경제수준(F=7.88, p<.001), 자기효능감(r=.527, p<.001), 자존감(r=.235, p=.022), 정서적 지지(r=.368, p<.001) 등의 변수를 독립변수로 한 다중회귀분석 결과, 자기효능감(β=.466, p<.001), 정서적 지지(β=.270, p=.002), 교육수준(β=.187, p=.033), 경제상태(β=-.206, p=.015)의 네 변수가 정신건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부각되었다. 그리고 이들 네 변수에 의한 설명력은 49.9%였으며 각 변수의 설명력은 27.8%, 10.4%, 8.8%, 2.9%였다. 본 연구대상자인 만성신체질환자의 정신건강을 위한 중재에 있어 자기효능감과 정서적 지지를 고려한 중재 방안의 필요성이 시사되었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factors influencing mental health of the people (n=95) with chronic physical illness living in community setting. The self-reported questionnaire included sociodemographic variables, mental health scale, self-efficacy scale, self-esteem scale, and emotional support scale. Data analysis procedure include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using mental health as the dependent variable, and gender, marital status, education level, economic status, self-efficacy, self-esteem, emotional support as independent variables.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revealed that the factors such as self-efficacy (β=.466, p<.001), emotional support (β=.270, p=.002), education level (β=.187, p=.003), and economic status (β=-.206, p=.015) turned out to be signigicant affecting factors. 49.9% of variance in mental health was explained by these factors (27.8% of variance by self-efficacy). These results suggest that it is important for the people with chronic physical illness to promote their self-efficacy to keep their good mental health.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논의

5. 결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