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3070.jpg
KCI등재 학술저널

한국직장인의 경력성공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Career Success on Life Satisfaction of Korean Workers: Based on Fit Relationship Between Importance and Achievement

  • 59

이 연구는 삶의 만족에 대한 결정 요인으로 경력성공의 7개 차원 - 학습과 개발(learning & development), 창업성공(entrepreneurial success),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사회적 영향력(positive impact), 우호적 사회관계(positive relationships), 경제적 안정(financial security), 경제적 성취(financial achievement) -의 역할에 대해 규명하였다. 한국 직장인 260명을 대상으로 7개 경력성공 기준에 대한 중요도와 성취도를 조사하고 삶의 만족과의 관련성을 다항회귀분석(polynomial regression analysis)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직장인들이 경력성공에 대해 중요하게 생각하는 측면보다는 실제적으로 이룩한 성취도 측면이 삶의 만족에 더 영향을 주고 있다. 둘째, 7개 경력성공 요인들 중에서 중요도와 성취도가 적합관계를 갖고 있는 것은 ‘학습과 개발’과 ‘일과 삶의 균형’이다. 셋째, ‘경제적 성취’는 중요하게 인식하지 않더라도 성취도가 높으면 삶의 만족이 높다는 결과를 보여 주고 있다. 끝으로 분석결과에 근거하여 경력(career) 분야 및 삶의 만족(life satisfaction) 분야에 대한 학문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실무적 시사점 및 연구의 한계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life satisfaction of Korean workers influenced by the seven factors of career success: learning & development, entrepreneurial success, work-life balance, positive impact, positive relationships, financial security, and financial achievement. 260 Korean workers participated in the survey and the polynominal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examine the fit relationship of importance and achievement aspects of career success with life satisfaction. The results reveal that: 1) the importance of career success has a stronger positive relationship with life satisfaction than the achievement of career success, 2) the importance and the achievement aspects of ‘learning & development’ and those of ‘work-life balance’ have fit relationships with life satisfaction, and 3) the achievement aspect of ‘financial achievement’ is positively related to life satisfaction even when the importance aspect of this factor is low. Based on the results, the academic contribution is suggested for the field of career and the literature of life satisfaction, followed by the discussion of the practical implication and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1. 서론

2. 이론적 배경과 가설

3. 연구방법

4. 분석결과

5.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