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연근무제도의 활용과 상사의 가정 친화적 행동이 구성원의 일과 삶의 균형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s of Flexible Work Arrangements and Family Supportive Supervisor Behavior on the Employee’s Satisfaction With Work-Life Balance
- 한국인사관리학회
-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제44집 3권
- : KCI등재
- 2020.08
- 29 - 51 (23 pages)
유연근무제의 효과성을 입증하는 많은 선행연구들이 축적되고 있다. 하지만 공식적인 제도의 도입만으로는 구성원들의 일과 삶에서 비롯되는 다양한 역할요구와 그로 인한 역할 갈등을 완화시켜주기에는 충분하지 않다는 주장도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있다. 즉, 공식적인 제도는 필요조건이긴 하나 충분조건은 아니라는 것이다. 이러한 취지에서, 본 연구는 유연근무제의 활용과 함께, ‘가정 친화적 상사 행동’(Family Supportive Supervisor Behavior, FSSB)이 구성원의 일과 삶의 균형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또한 유연근무제도의 활용이 구성원의 일과 삶의 균형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가정 친화적인 상사의 지원 행동이 발휘하는 긍정적 조절효과에 대해서도 실증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공공기관에서 근무하고 있는 283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 결과, 유연근무제의 활용과 가정 친화적 상사 행동은 구성원의 일과 삶의 균형에 긍정적인 영향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정 친화적 상사 행동은 유연근무제 활용과 일과 삶의 균형 간 관계에서 긍정적인 차원의 상호작용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유연근무제의 도입 및 시행 그 자체도 물론 중요하지만, 이러한 제도의 효과가 더욱 실효적으로 구현되기 위해서는 특히 상사에 의해 발휘되는 비공식적인 차원의 인적 지원이 결합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해 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가 함의하는 이러한 시사점과 함께,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과제를 위한 제언 등이 토론되었다.
With growing interest in the work-life balance of employee, many organizations have adopted and implemented formal family supportive policies such as flexible work arrangements programs. Despite many proofs that evidenced positive effects of these programs on the employees’ overall well-being and work-family consequences, some scholars suggested that the existence of such programs is a necessary, but insufficient, condition to alleviate employees’ rising work and family demands. In these respects, the main research question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pecific role that ‘Family Supportive Supervisor Behavior’(FSSB) as an informal and specific job resource play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lexible work arrangements and employees’ satisfaction with work-life balance. To investigate these research questions empirically, data were collected from 283 employees who worked in a public institutions.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use of flexible work arrangements and employees’ perception of FSSB were positively related to their satisfaction with work-life balance. And as expected in the hypothesis, the moderating effect of FSSB was observ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lexible work arrangements and employees’ satisfaction with work-life bal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key role of supervisors, specifically FSSB as an informal supporting resource, is critical to effectively implement formal family supportive policies such as flexible work arrangements.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of this study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then discussed.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가설 설정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토론 : 연구의 의의와 시사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