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3209.jpg
KCI등재 학술저널

지방재정지출의 지역경제 활성화 효과에 관한 연구

The Effect of Local Fiscal Stimulus on Promoting Local Economy

DOI : 10.32427/klar.2020.17.2.1
  • 369

본 연구에서는 과거 전라도・경상도 권역의 시・군 지방자치단체별 시계열데이터를 사용하여 지자체별 총예산에서 지역경제 관련 주요 예산이 차지하는 규모(지역경제활성화 예산비율)가 일정수준 이상 일 때 지역경제 활성화 효과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성향점수 매칭법(Propensity Score Matching, PSM)을 적용하여 추정 하였다. 이를 통해 시・군별 기초지방자치단체들의 지방재정지출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추정하고 지역경제 관련하여 현행 지방재정지출의 역할과 개선방안에 대해 제시하는데 필요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또한 과거 선행연구들에서 제시한 결과를 바탕으로 지방재정의 기능별 세출예산 중에서 지역경제 활성화에 관여되는 대표적인 기능을 선택적으로 집계해서 지역경제 활성화에 관련된 예산규모로 정의하고 자치단체 총 예산액 대비 비율을 지역경제활성화 예산비율로 사용 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시・군 유형 지방자치단체들을 대상으로 지역경제 관련하여 지방재정지출이 일정수준 이상으로 증가할 때 지역경제의 대리변수로 사용된 지방세수입의 증가가 유의미한 수준으로 나타나는 바를 확인하였다.

There are many literatures that present the positive effect of government expenditures on national economic growth. Local governments also increase their government spending to boost the local economic growth. It strengthens that the fiscal intervention might be critical to boost local economy, especially, during a economic recession, which market consumption level in the economy falls. This paper presents the effect of local government expenditures on the local economy growth. It explains how local government spending expansion might boost its local economy growth. The paper employs the Propensity Score Matching Method(PSM) to estimate the average treatment effect on the Treated(ATET) of local government expenditures while the fiscal expansion of government expenditures, focusing on local economy, to boost their economic growth, which is over critical level. It also provides the definition of local economy stimulus budget ratio to present the critical level of local government spending to affect the local economy growth employed during the estimation.

Ⅰ. 들어가며

Ⅱ. 선행연구: 지방재정지출 효과

Ⅲ. 지방재정지출 효과 추정

Ⅳ. 결 과

Ⅴ. 마무리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