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3285.jpg
KCI등재 학술저널

19세기 근세일본 기독교 배격서의 문화사적 의의

Cultural-Historical Meanings of a Modern Japanese Anti-Christian Work in the 19th Century : Focusing on the ‘Defense of Buddhism’ and ‘Defense of Country’ of the 『Buddhist Theory of Defense of Country』(1856)

  • 123

본고는 묘엔지(妙圓寺)의 주지 겟쇼(月性/1817-1858)에 의해 쓰여진 기독교 배격서 『불법호국론』(1856)의 국문 번역과 분석을 통해 막부 말기에 나타난 일본 사회의 혼돈 양상과 겟쇼가 말하는 ‘호법’과 ‘호국’의 의미를 중심으로 근세 일본의 배격서가 갖는 문화사적 의의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불법호국론』은 막부(幕府) 말기부터 메이지유신기에 걸쳐 널리 읽히며 진종파의 호국운동의 기초가 된 자료로 알려져 있다. ‘호법’은 불법(佛法)을 지키는 것을 말하는데 특이한 것은 『불법호국론』에서 나타난 호법이 호국, 즉 일본을 지키는 것이며 일본을 지키는 것이 불법 수호의 길이라는 호법과 호국의 동일시가 강조되고 있다는 점이다. 또한 『불법호국론』이 말하는 ‘호국’의 경우 일본을 서구열강의 침입으로부터 지키는 것을 의미하지만 더 정확하게는 천황의 나라인 신국을 수호한다는 의미하고 있다. 이는 당시 천황을 중심으로 신도(神道)가 국가종교로 대두되는 시점과 맞물린 상황 속에서 대두된 배불론(排佛論)을 타개하고자 한 불교의 위기의식에 의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겟쇼는 호법의 실천법으로 정토진종(淨土眞宗) 의 ‘렌뇨(蓮如) 법주(法主)가 만든 말씀에 근거해 민심을 사로잡고 사교(邪敎)인 기독교의 유혹에 넘어가지 않도록 불교의 가르침으로 맞설 것을 제안하고 있다. 한편 『불법호국론』에 나타난 호법관의 특징으로 신국 일본과 천황에 대한 충심을 강조하면서도 한편으로 막부 장군에 대한 충심을 동일선상에서 이야기하고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호국’의 실천법으로 ‘죽음을 두려워하지 말고 서양 오랑캐와 싸울 것을 주장하고 있는데 이러한 호법과 호국의 일치, 또한 적극적인 실천의 권면 등은 메이지유신 이후 개국을 맞이하게 되는 시대의 소용돌이 속에서 일본불교가 그 존재의의를 어떻게 지켜왔는지를 보여주는 예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비록 메이지 신정부가 기독교를 용인하게 되면서 사실상 겟쇼의 호법, 호국론은 그대로는 실현되지 못하였으나 이후에도 진종파 승려들은 선교사에 대한 감시와 내정 시찰 등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적극적인 기독교배격 활동을 이어갔다. 기독교배격서가 근대 전환기의 서양문화의 수용이 종교를 비롯한 일본 문화에 어떠한 변화를 이끌어 냈는지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그 문화사적 의미는 크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Through the translation into Korean and analysis of an anti-Christian work 『Buddhist Theory of Defense of Country』(1856) by the chief monk Getshow (1817-1858) of Myoen-ji Temple, this thesis aimed to examine the cultural -historical meanings of the modern Japanese anti-work focusing on the chaotic aspect of Japanese society shown in the end of Bakuhu, and the meanings of ‘Defense of Buddhism’ and ‘Defense of Country’ mentioned by Getshow. Especially, the 『Buddhist Theory of Defense of Country』 is known as the basic data for the national defense movement of Jinjongpa as it was widely read from the end of Bakuhu to the Meiji Restoration period. The ‘defense of Buddhism’ means the protection of Buddhism. Especially, the defense of Buddhism shown in the 『Buddhist Theory of Defense of Country』 is to protect Japan, so that it is emphasized that the defense of Buddhism and the defense of country are regarded as the same. Also, in case of ‘defense of country’ mentioned by the 『Buddhist Theory of Defense of Country』, it means not only defending Japan from invasion by Western powers, but also protecting the divine land which is the country of Japanese emperor. This might be originated from Buddhism’s consciousness of crisis in order to overcome the anti- Buddhism rising in the situation when the Shinto was rising as a national religion focusing on the Japanese emperor of the time. Concretely, Getshow is suggesting to stand against a false religion Christianity with the lessons of Buddhism by winning the popularity based on the words created by a teacher of Buddhist priest, ‘Lennyo’ of Jeongtojinjong as the practical rules of defense of Buddhism. Meanwhile, 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view of defense of Buddhism shown in the 『Buddhist Theory of Defense of Country』, it emphasizes the loyalty for the divine country Japan and the Japanese emperor, and also emphasizes the loyalty for General Bakuhu at the same level. The practical rules of ‘Defense of Country’ argue to fight against the Western barbarians without feeling afraid of death. The accordance of defense of Buddhism and defense of country, and encouragement of active practice could be an example that shows how the Japanese Buddhism has protected the significance of its existence into a whirlpool of the time when facing the foundation of a country after the Meiji Restoration. Even though Getshow’s theory of defense of Buddhism and country was not actually realized as the Meiji new government accepted Christianity, the monks of Jinjongpa actively continued the anti-Christian activities by performing their roles in the surveillance of missionaries and inspection of internal affairs. In the aspect of providing such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influences of the acceptance of Western culture in the transitional period to modern era on the changes in Japanese culture including religion, the anti-Christian work has huge cultural-historical meanings.

Ⅰ. 서론

Ⅱ. 『불법호국론』의 구성과 시대적 배경

Ⅲ. 『불법호국론』의 호법-기독교 비판과 배격 의도

Ⅳ. 『불법호국론』의 호국-근세일본 불교와 신국

Ⅴ.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