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3289.jpg
KCI등재 학술저널

일본의 서비스 무역 동향 분석

Analysis of the Trend of Japan’s Service Trade

  • 111

연구목적: 본 연구는 일본의 경제활동별 생산과 가계의 최종소비지출 통계를 이용하여 경제 서비스화가 어느 정도 진행되고 있고, 그것이 서비스 무역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논문구성/논리: 경제가 성장하면 산업구조의 중심이 제조업에서 서비스업으로 이동한다는 점에 착안하여 서비스 산업의 발전이 서비스 무역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분석한 것이다. 경제성장으로 소득의 향상, 도시화, 여가시간의 증가, 교육수준의 상승, 고령화 진전 등을 배경으로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이에 대응하는 여러 서비스가 생산, 제공되어 서비스 산업이 발전하였다. 이에 서비스 무역이 어느 정도 성장하였는지를 분석하려는 것이다. 결과: 경상수지 흑자가 계속되고 있고 많은 부분이 소득수지의 흑자에 의해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생산구조에서 제조업의 비중이 감소하고 서비스 산업의 발전이 현저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서비스 산업의 발전이 일부산업에 편향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 수지를 구성하는 항목 중 금융과 여행, 저작권 사용에서 흑자를 기록할 뿐 개선의 여지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독창성/가치: 일본의 경제 서비스화가 어느 정도 진행되고 있는지 생산과 지출의 통계를 이용하여 산업의 구조변화를 파악하고, 서비스 수출의 동향에 대해 검토하였다는 것에 독창성이 있다. 일반적으로 서비스 무역의 변화는 국제수지의 변화에 초점을 맞춘다. 서비스 무역은 제조업이 발전이 기반이 되어야 확대된다. 이러한 의미에서 본 연구는 산업구조의 변화를 파악하고 서비스 무역의 동향을 분석하였다는 데에 의미가 있다.

Purpos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xtent to which the servitization of the economy has progressed, using the statistics of the production of households by Japan’s economic activities and final consumption expenditure and the impact of that on service trade. Composition/Logic: This study analyzed the impact of the development of the service industry on service trade, paying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e center of the industrial structure moves from the manufacturing industry to the service industry if the economy grows up. Demands for service increased with income improvement with economic growth, urbanization, the increase of leisure, the rise of education level, and the advancement of aging as backgrounds, and thus, as various services were produced and provided, corresponding to this, the service industry has been developed. Therefore, this study would analyze how much service trade has grown up. Findings: The current account surplus continues, and many parts are maintained by the surplus of the income account balance. Also, in the production structure, the share of the manufacturing industry decreased, and the development of the service industry appeared to be remarkable. However, it turned out that the development of the service industry is biased to some industries. There was a surplus only in the finance, travel, and copyright use, of the items constituting service income and expenditure, but there is room to improve. Originality/Value: This study has originality in that it assessed changes in the industrial structure and reviewed the trend of service exportation, using the statistics of production and spending, concerning to what extent Japan s economic service progresses. In general, changes in service trade focus on changes in international payments. Service trade should be based on the development of the manufacturing business to expand. In this sense,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assessed changes in the industrial structure and analyzed the trend of service trade.

Ⅰ. 서 론

Ⅱ. 세계의 산업변화와 서비스 무역

Ⅲ. 일본 경제의 서비스화

Ⅳ. 일본의 서비스 무역 동향

Ⅴ. 결 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