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크로아티아 근대 민족주의 시작과 우스타샤(Ustaše) 민족주의
형성과 이론적 배경을 중심으로
- 권혁재(Hyok Jae Kwon)
-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 동유럽발칸연구
- 동유럽발칸연구 제44권 3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20.08
- 181 - 209 (29 pages)
19세기 근대적 의미의 민족주의가 범(汎)슬라브주의와 함께 크로아티아에 유입된 이후 크로아티아는 오늘날까지도 민족주의 시대에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민족주의는 그 개념과 전개 방식에 있어 다양하게 해석된다. 크로아티아에서 전개되었던 민족주의 운동은 크게 두 유형으로 설명할 수 있다. 첫 번째는 남슬라브 민족국가 안에서 크로아티아인의 정치적 정체성을 찾는 유형, 두 번째는 그들 자신만을 위한 자치 국가 건설과 국가를 기반으로 하는 민족 정체성을 형성하려는 유형이다. 크로아티아 민족주의 시작은 첫 번째 방식의 민족주의였고 역사, 문화 또는 종족이라는 요소로부터 크로아티아 민족의 정치적 정통성을 끌어내려 했다. ‘일리리아(Illyria)’라는 이름으로 상징되는 남슬라브 민족형성 그리고 이들을 위한 민족국가 건설을 목표로 하였다. 두 번째 유형이 크로아티아 역사에서 가장 폭력적인 민족주의라 평가받는 우스타샤(Ustaše)와 그 실천적 형태라 할 수 있는 ‘크로아티아 독립국(Nezavisna Država Hrvatska)’의 민족주의다. 이 두 유형의 민족주의가 추구했던 이상은 현실정치에서는 모두 실패로 끝났다. 그러나 이 두 유형의 민족주의는 이후 크로아티아 역사에서 사회·정치적 상황에 따라 반복해서 등장하고 있다. 이 연구는 민족과 민족주의의 보편적 개념을 정리하고 두 민족주의가 생성한 개념과 이론을 분석하여 오늘의 크로아티아 민족주의를 평가한다.
Since nationalism in the modern sense of the 19th century entered croatia with pan-slavism, Croatia has lived in a nationalist era to this day. Nationalism is interpreted in various ways in its concept and way of development. The croatian nationalist movement can be largely divided into two types of nationalism. The first tried to find the political identity ‘natio croatica’ within the south slavic ethnic identity and the second tried to build a self-governing state for themselves and form a national identity based on the state. The start of nationalism in croatia was the first type of nationalism and sought to bring down the political legitimacy of the croatian nation from the elements of history, culture or ethnicity. The aim was to create a South Slavic nation, symbolized by the name of Illyria, and to build a nation-state for them. The second type is Ustaše, considered the most violent nationalism in the croatian history, and the nationalism of the Independent State of Croatia(Nezavista Država Hrvatska: NDH) , which is its practical form. The ideals pursued by these two types of nationalism have all ended in failure in real politics. But these two types of nationalism have since emerged repeatedly in Croatian history, depending on social and political situations. This study organizes the universal concepts of ethnicity and nationalism and analyzes the concepts and theories generated by the two nationalism to evaluate the Croatian nationalism of today.
1. 들어가는 말
2. 크로아티아 민족주의 형성과 양상
3. 우스타샤 민족주의
4. 맺는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