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3308.jpg
학술저널

일개 대학 RN-BSN 과정 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직무 스트레스

Academic self-efficacy and Job Stress in RN-BSN Students

  • 186

본 연구는 RN-BSN 과정 학생들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직무 스트레스를 파악하고 이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직무 스트레스 감소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간호서비스의 질을 높이며 결국 간호측면에서의 국가적 발전을 도모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연구의 대상자는 B 광역시 소재 I 대학교에 다니고 있는 3, 4학년 학생 122명이었다. 연구도구는 김아영과 박인영(2001)이 개발한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와 장세진 등(2005)이 개발한 한국인 직무 스트레스 측정도구 단축형(Korean Occupational Stress Scale : KOSS-SF)을 사용 승인을 받은 후 사용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18년 10월 1일부터 2018년 10월 21일까지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빈도와 백분율을 이용하여,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직무 스트레스 정도는 평균과 표준편차, 최소값과 최대값으로,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 스트레스 차이는 t-test, ANOVA로, 사후검정은 Scheffe s test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대상자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직무 스트레스 간의 관계는 Pearson s correlation coefficient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총 6점 만점에 평균 3.54±0.27이었고, 직무 스트레스는 총 4점 만점에 평균 2.52±0.22로 중간 정도로 확인되었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 스트레스는 현재 근무부서, 근무형태, 현재 직위, 근무지 만족도, 취미생활 여부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대상자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직무 스트레스의 관계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므로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높여 직무 스트레스를 감소시켜야 하겠다. 그러나 직무 스트레스에 영향을 주는 변인에는 다양한 요인들이 있으므로, 후속 연구에서는 RN-BSN 과정 학생들을 대상으로 직무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인을 고려하여 연구할 필요가 있겠다. 또한 병원뿐만 아니라 학교 현장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체계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level of academic self-efficacy and job stress in RN-BSN students and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of academic self-efficacy and job stress. This study was also attempted to improve the quality of nursing services and eventually promote national development in nursing. A sample consisted of 122 RN-BSN students from 1 university located in Busan.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1 October 2018 to 21 October 2018.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used to assess general characteristics, academic self-efficacy, and job stress measured by KOSS-SF. Regarding the data that had been collected, the SPSS 24.0 program had been used. Regarding the academic self-efficacy of the subjects, the average grade point was 3.54±0.27 points. Regarding the job stress, the average grade point was 2.52±0.22 points. Regarding the job stress resulting from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were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resent department(F=0.58, p=0.012), type of work(F=0.31, p=0.011), position(F=0.41, p=0.047), satisfaction of place of work(F=0.38 p=0.023), hobby(t=1.91, p=0.048). Regarding the correlation of academic self-efficacy and job stress, there was the negatvie correlations(r=-0.39, p=0.029). Therefore, we should reduce job stress by increasing academic self-efficacy. It is suggested that students in the RN-BSN course should conduct research on factors that affect job stress. It also suggests the need to develop systematic programs to enhance academic self-efficacy at school as well as hospitals.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 의

Ⅴ.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