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아분화가 중년부부의 위기감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Self-differentiation upon Crisis-sense of Middle-aged Couples
- 한국자료분석학회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 Vol.13 No.1
-
2011.02183 - 192 (10 pages)
- 이용수 56

초록
본 연구는 40대 이상의 결혼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중년부부를 대상으로 자아분화가 중년의 위기감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부산지역의 부부 19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SPSS Ver. 17.0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아분화 하위요인 중 정서단절, 인지적/정서적 가능, 가족투사는 여자가 높았으나 가족통합이나 자아통합은 성별 차이가 없었다. 둘째, 중년위기감 하위 요인 중 자아혼란은 남자가 높았으나 정서적 위기, 일에 대한 불만, 활력상실, 과거후회의 정도에 대한 성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남자의 중년부부 위기감에 영향력이 가장 높은 자아분화는 인지적/정서적 기능으로서 자신의 감정을 통제하는 능력 및 사고와 감정의 융합정도가 높을수록 위기감의 수준은 낮아졌다. 특히 활력상실 위기 수준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가 가장 높았다(β=-.517). 여자의 경우도 인지적/정서적 기능의 영향력이 높았으나 남자 보다는 영향의 정도가 낮았으며, 가족투사나 가족퇴행의 영향력은 남자 보다 높았다. 여자는 자신 보다는 가족과 관련된 요인이 위기감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influential level of self-differentiation upon crisis-sense of middle-aged couples maintaining the marital relationship in their over 40s. As a result of factor analysis on the self-differentiation and crisis-sense of middle-aged couples, 5 sub-factors were extra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mong sub-factors of self-differentiation, the emotional discontinuation, cognitive/emotional function, and family projection were higher in women than in men. There was no difference by gender in family integration or self-integration. Second, as for crisis-sense of middle-aged couples, the self-confusion was higher in men than in women. However, the difference in emotional crisis-sense, in dissatisfaction with work, in loss of vitality, and in regrettable level of the past wasn’t shown. Third, as the self-differentiation that has the highest influence upon crisis-sense of middle-aged couples in men is the cognitive/emotional function. Especially, the influential level upon the crisis level in the loss of vitality was the highest (β=-.517). In case of women, the influence of cognitive/emotional function was high. However, the influential level was lower than in men. The influence of family projection or family regression was higher than in men.
목차
1. 서론
2. 연구방법
3. 결과 및 논의
4. 결론
참고문헌
참고문헌 (0)
등록된 참고문헌 정보가 없습니다.
해당 권호 수록 논문 (45)
- 의류매장에서 날씨가 기업의 매출액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2-단계 계산 알고리즘에 의한 2010 한반도 바람자원의 TMY 구축에 관한 연구
- 종합병원 일반병동의 간호업무량 상대가치 도출
- 에너지 상대가격과 전력수요 관계분석
- ARFIMA-FIGARCH 모형을 이용한 국제주식시장의 장기기억속성 및 가능한 설명요인
- Financial Constraints and Corporate Liquidity Management
- A Study on Determinants of Capital Structure of Listed Construction Companies
- 공간통계학에 의한 한국의 사망률 연구
- Perceptions of School Psychological Services from Korean College Students’ Perspective: Does Student Gender or Status Make a Difference?
- An Alternative Algorithm for Continuum Regression
- 우리나라 국제인구이동에 관한 모형적용 연구
- 만성질환과 대사증후군 관계 연구
- 부산의 도시공간구조와 중심지 설정에 관한 연구
- Profile Analysis of Top Twitter Users
- Nonparametric Tests for the One-Sided Alternatives
- A Research on Capital Structure Premium: a Case of the Global Financial Crisis
- 감정부조화가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 자아분화가 중년부부의 위기감에 미치는 영향
- 웹마이닝 기법을 이용한 학과 홈페이지 분석
- IMF이후 중소기업 생존분포에 대한 시각화 분석
- 적자발생의 조건부확률 및 비조건부확률
- Detection and Recognition of Moving Objects using the Moving Mask Method and the Hidden Markov Model
- 개발도상국의 외국인 직접투자 결정요인 분석
- 내부회계 및 공시전문인력의 보유가 가결산이익의 과대공시 유인에 미치는 영향
- 심장수술환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 예측요인
- 대학생의 성인애착유형에 따른 내현적 자기애와 사회적 자기 효능감의 차이
- 시계열분석에 대한 R 패키지의 활용
- 축제만족요인이 재방문의사와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 대학입시의 당락에 미치는 전형요소들의 영향력 분석
- 중요도-실행도 분석: 비율을 활용한 연구
- 노인체조프로그램이 노인요양병원 입원환자의 신체기능개선에 미치는 영향
- 탄력성이 운전스트레스와 교통사고 위험에 미치는 영향
- 관측소별 연중기온함수의 도함수들에 근거한 남한의 지역군집
- 표본추출방법을 이용한 기술보증기금의 사후평가 대상 기업의 선정
- Bayesian Estimation for the Half Logistic Distribution Based on Type II Censored Samples
- 연관성규칙에서의 다중매개관계에 관한 연구
- 확률 과정에 기반한 교통망 성능 지수
- 조사통계의 품질진단점검지표에 관한 연구
- 투자성향효과가 투자성과에 미치는 영향
- 인지부하 요인이 안면온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 퍼지선형 회귀에서의 이상점과 영향력이 큰 관측점 검출
- 청소년의 레저활동 유형과 비행 유형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 성격검사 방법의 차이에 따른 규준점수의 설정에 관한 연구
- 부산지역 고용지원서비스 유형에 따른 업무성과에 관한 탐색적 연구
- 국제유가가 석유화학관련기업의 주가에 미치는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