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허약노인을 위한 세라밴드 운동 프로그램의 효과
A Study on the Effects of Thera-Band Exercise Program for Frail Elderly
- 한국자료분석학회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 Vol.13 No.3
- : KCI등재
- 2011.06
- 1241 - 1254 (14 pages)
본 연구는 8주간의 세라밴드 운동이 허약노인의 전신근력, 평형성, 민첩성, 일상생활 수행능력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한 비동등성 대조군 사전-사후 유사 실험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N보건소의 맞춤형방문건강관리 사업 대상자 중 허약노인으로 판정받은 자로 실험군 16명과 대조군 17명이었으며, 실험처치는 방문간호사와 연구보조원이 가정방문을 하여 실험군에는 8주간 세라밴드운동프로그램과 방문간호활동을 하였고, 대조군에는 방문간호활동과 보건교육을 실시하였다. 중재전후의 효과분석하기 위해 악력, 눈뜨고 한발서기, 일어나 걸아가기(time up go), ADL/IADL과 삶의 질을 측정하였다. 측정된 자료는 SPSS/WIN 18.0을 이용하여 chi²-test, t-test로 동질성 검증을 하였고, 두 집단의 세라밴드 운동의 효과 비교는 실험 전ㆍ후 평균차이에 대한 t-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악력과 눈뜨고 한발서기가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일어나 걸어가기는 중재 전에 비해 중재 후에 유의하게 단축되었으며 ADL/IADL 점수와 삶의 질 점수가 향상되었다. 이로서 세라밴드운동프로그램은 허약노인의 근력강화에 효과적이며 인체기능의 개선 및 활동체력을 증진시켜 일상생활 수행능력과 삶의 질 향상에 유용한 간호중재임을 알 수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thera-band exercise program on muscle strength, balance, agility, activity of daily living (ADL) performance and quality of life in frail elderly. Method: A non-equivalent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The subjects were recruited from two community health center in Busan, Korea. The participant assigned to either an experimental group (16) or a control group (17). The thera-band exercise program was administered three times a week for 8 weeks to participant in experimental group. Result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grip strength, one leg with eyes opened, timed up-and-go, ADL/IADL, and quality of life. Conclusion: Consequently, thera-hand exercise program could be utilized as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to improved muscle strength, balance, agility, activity of daily living performance and quality of life in frail elderly.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 결과
4. 논의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