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3049.jpg
KCI등재 학술저널

의무병과정 교육생의 기본심폐소생술에 관한 교육 전ㆍ후 지식수준 및 태도

Knowledge and Attitude about Basic Life Support Educational Experience of the Medic Trainees in School of Military Medicine

  • 8

본 연구는 전시 및 야전의 응급상황에서 응급의료를 책임지고 있는 의무병의 기본심폐소생술에 대한 지식과 태도에 관한 차이를 교육 전ㆍ후로 살펴보고자 함이다. 이를 위해 의무병으로 분류된 33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신뢰도 검사, 빈도분석, t-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대상자들이 과거 응급상황에 대한 경험에서 아무런 조취를 하지 못하고 다른 사람이 응급처치 하는 것을 구경한 대상자가 59.6%로 가장 많았으며, 교육 경험 중에서 78.2%가 입대 전 기본심폐소생술 받은 경험이 있으며, 6개월 이내가 14.9%, 1년 반 이내가 88.2%로 나타났다. 교육 시 개선해야 할 사항으로는 다양한 시청각 교재의 활용이 가장 높았으며, 교육 전ㆍ후 태도의 차이는 35.27점에서 36.53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지식수준은 6.81점에서 7.07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의무병의 기본인명구조 교육의 궁극적인 목표가 전시 및 야전의 응급상황에서 신속하게 판단하여 정확한 방법으로 기본심폐소생술을 수행하는 것이라면, 지식뿐만 아니라 자신감을 가지고 기본심폐소생술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실기 중심의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절실히 요구된다는 것이다.

Purpose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provide a guidance for basic life support training strategies for medic through the analysis of medic trainees’ characteristics, knowledge and attitudes concernin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Method : This is a descriptive cross-sectional survey study of the medic trainees belonged to school of military medicine for 4wks. One group pretest-posttest paired with same questionaire survey was designed. t-test analysis was used to determine any significant variate in frequency, percentage, means. A prior significant level(&#29722;) was set at 0.05. Results : The 336 responders (responders rate 100%) are 19~20years old male. They have experience with emergent situation was 17%. Mean score of experience with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training before listed school of military medicine was 78%. Attitude score was higher posttest (35.27±4.67) than previous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training (36.53±4.81) with significant different (p<0.05). Related factors of blockage to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was concern make patient worse that not quite enough to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48.2→38.4) and considering responsibility for side effect (28.9→32.4). The score of posttest knowledge was higher than pretest significantly (6.81±1.11→7.07±1.03) (p<.001). Conclusion :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 that medic trainee should be evaluated by the skill guiders and methodological approach for basic life support training quality.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논의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