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3049.jpg
KCI등재 학술저널

기계적 기침보조기법 적용이 경수손상 환자(C5, C6)의 폐 기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Mechanical Insufflation-Exsufflation Method on Lung Function in Patients with Spinal Cord Injury(C5, C6)

  • 9

본 연구에서는 경수손상 환자의 폐 기능 향상을 위해 기계적 기침보조기를 적용하였을 때 폐활량, 최대주입용량과 최대기침유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척수손상 환자들 중 선정 기준에 의해 선별된 31명을 무작위 배치법으로 두 군으로 나누었고, 운동치료와 기계적 기침보조기를 실시한 연구군 16명과 운동치료만 실시한 대조군 15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운동치료는 연구군, 대조군 모두 시행하였으며 연구군만 기계적 기침보조기를 추가적으로 15분간 시행하였다. 연구군은 치료 전후 폐활량, 최대주입용량, 최대기침능력 검사에서 노력성 폐활량, 일초 노력호기량, 최대주입용량, 비 보조 최대기침유량, 보조 최대기침유량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05), 대조군은 모든 항목들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연구군과 대조군 간의 치료 전후 최대주입용량, 비 보조 최대기침유량, 보조 최대기침유량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이를 통해 기계적 기침보조기는 경수손상 환자의 폐 탄력성, 기침 능력 증진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고, 호흡기계 합병증 감소에 도움이 될 것이라 판단된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the lung capacity, maximal insufflation capacity, and peak cough flow when a mechanical insufflation-exsufflation method was used to increase patients’ lung functio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1 patients with cervical cord injuries. They were randomly selected from patients within the boundaries of the selection criteria, and divided into two groups; The subject group(n=16) used the mechanical insufflation-exsufflation method with traditional therapeutic exercise. The control group(n=15) used only traditional therapeutic exercise. The results indicated that FVC, MIC, UPCF, and APCF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subject group (p<.05). By contrast, in the control group, the results didn’t indicate the significant differences from the variabl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MIC, UPCF, and APCF between the subjec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before and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mechanical insufflation-exsufflation method.

1. 서론

2. 연구방법

3. 결과

4. 고찰

5.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