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간호대학생들의 외모만족도, 자존감, 우울 및 취업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ppearance Satisfaction, Self-Esteem, Depression, and Employment Stress among Nursing College Students
- 한국자료분석학회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 Vol.13 No.5
- : KCI등재
- 2011.10
- 2487 - 2500 (14 pages)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들의 외모만족도, 자존감, 우울, 취업스트레스의 정도와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 및 취업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규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대상자의 외모만족도는 성별, 성적과 가정의 월소득에 따라, 자존감은 성별, 성적, 종교, 어머니의 학력, 가정의 월소득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대상자의 우울은 성별, 학년, 가정의 월소득에 따라, 취업스트레스는 성별, 학년, 성적, 아버지의 학력, 어머니의 학력, 가정의 월소득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대상자의 외모만족도, 자존감, 우울 및 취업스트레스 간의 상관관계는 외모만족도가 높을수록 자존감이 높았으며, 우울과 취업스트레스는 낮았다. 자존감이 높을수록 우울과 취업스트레스는 낮았고 우울이 높을수록 취업스트레스는 높았다. 취업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는 우울, 학년, 가정의 월소득, 자존감으로서 39.6%의 설명력을 나타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볼 때, 간호대학생의 경우 입학시기부터 우울과 자존감의 정도를 측정하고 특히 가정형편이 어려운 학생을 대상으로 지속적이고 심층적인 자아성장프로그램의 참여를 통해 취업스트레스 정도를 가급적 완화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This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the appearance satisfaction, self-esteem, depression, and employment stress among nursing college students. In this study, 296 nursing college students by a convenience sample method were studied. Data were collected from April, 27 to May 9, 2011 and analysed using SPSS/PC Win 12.0 program. The appearance satisfaction among the nursing college students significantly differed according to the gender, school record and monthly income, the self-esteem significantly differed according to the gender, school record, religion, mother’s education and, monthly income, the depression significantly differed according to the gender, grade and monthly income, the employment stress differed according to the gender, grade, school record, father’s education, mother’s education, and monthly income. Appearance satisfaction and self-esteem showed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and appearance satisfaction and depression, appearance satisfaction and employment stress showed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Depression and self-esteem showed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depression and employment stress showed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The significant predictors of employment stress were depression, grade, monthly income, and self-esteem. When developing programs to relieve employment stress in nursing college students, consideration should be given to depression, self-esteem as well as monthly income, and grade.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논의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