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제결혼이주여성의 생활만족도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Life Satisfaction of Married Immigrant Women
- 김현실(Hyun-Sil Kim) 정영미(Young-Mi Jung)
- 한국자료분석학회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 Vol.13 No.5
- 등재여부 : KCI등재
- 2011.10
- 2417 - 2432 (16 pages)
본 연구는 국제결혼이주여성의 생활만족도와 우울, 문화적응스트레스, 사회적지지를 살펴보고 생활만족도 영향요인을 파악함으로써 국제결혼이주여성을 위한 정신건강관리 및 건강증진의 전략과 방향을 설정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편의표집추출방법에 의해 선정된 국제결혼이주여성이며, 연구대상자는 총 173명으로, 2010년 1월부터 12월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수집하였다. 본 연구결과 생활만족도는 거주기간, 월수입, 우울과 문화적응스트레스는 주변인의 모국문화에 대한 이해도, 사회적지지는 교육수준과 주변인의 모국문화에 대한 이해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생활만족도는 우울 및 문화적응스트레스와 역상관관계를, 사회적지지와 순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생활만족도 영향요인은 사회적지지, 우울, 문화적응스트레스, 연령이었으며, 이들 변수의 생활만족도 설명력은 43.5%였다. 결론적으로 국제결혼이주여성의 생활만족도 향상을 위해서는 사회적지지 제공, 우울과 문화적응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한 정신건강프로그램 및 한국생활 조기정착을 위한 언어와 문화적응교육 등이 필요하다.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factors life satisfaction of married immigrant women. The participants were 173 married immigrant women Kyung-San City, Korea.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from January to December 2010 and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one-way ANOVA, Scheffè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ith SPSS WIN 18.0. The participants’ mean age was 28.6 (range=20 to 49). Life satisfaction significantly differed according to length of residence in Korea and monthly household income. Moreover, life satisfac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ocial support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depression and acculturative stress. Factors influencing life satisfaction were social support, depression, acculturative stress, and age, which explained 43.5% of total varianc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n acculturative program that considers social support and psychological adaptation should be developed and implemented in order to improve life satisfaction and the quality of life of married immigrant women.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논의
5.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