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3050.jpg
KCI등재 학술저널

갑상선 절제술이 부갑상선 호르몬의 정상범위 회복시간에 미치는 영향 연구

Effect of Thyroidectomy on the Time to Recovery of Parathyroid Hormone of Thyroid Carcinoma Patients

  • 9

본 논문에서는 갑상선암 환자들이 갑상선 절제 수술을 받은 후 부갑상선 호르몬(parathyroid hormone, PTH)이 정상범위로 회복될 때까지의 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찾고자 한다. PTH는 수술 후 주기적으로 관측되기 때문에 PTH가 정상범위로 회복될 때까지 걸린 시간은 구간중도절단될 수 있다. 구간중도절단자료라 함은 관심 있는 생존시간이 정확히 관측되는 것이 아니라 구간으로 관측되는 자료를 의미한다. R 패키지에 구현된 함수들을 써서 생존함수를 추정하고, 두 그룹의 생존함수를 비교하고, 칵스 비례위험모형을 써서 생존시간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찾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갑상선 절제술과 성별에 따라서는 생존함수가 서로 다르지 않았으나 병리적 요인에 따라서는 생존시간은 매우 유의하게 달랐다. 갑상선 절제술, 병리, 성별, 연령을 공변량으로 하는 준모수적 모형에서도 병리적 요인만 생존시간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this paper our aim is to find risk factors on the time to recovery to a normal range of parathyroid hormone after thyroidectomy of thyroid carcinoma patients. The time possibly can be interval-censored because the inspections only occur periodically. It means that the true survival time is only observed as a form of interval rather than an exact value. Using R packages, we estimated the survival functions through EM and EM-ICM algorithms, compared the survival functions based on weighted log-rank tests, and found risk factor(s) which affect on the time to recovery based on the Cox proportional hazards model. According to the results, there was no difference in survival functions for the variables, thyroidectomy and gender, while the estimated survival functions for the variable, pathology, seemed to be different. Also there was no significant risk factors to time to recovery except for pathology.

1. 서론

2. 자료구조

3. 생존함수의 추정

4. 생존함수의 비교

5. 준모수적 모형: 칵스 비례위험모형

6.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