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모 양육태도가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귀인성향 및 정서적 부적응행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erceived Parent’s Rearing Attitudes on Children’s Locus of Control and Emotional Maladaptation
- 한국자료분석학회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 Vol.14 No.1
- : KCI등재
- 2012.02
- 309 - 317 (9 pages)
본 연구는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가 아동의 귀인성향과 정서적 부적응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초등학교 고학년들을 대상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237명의 초등학생들의 설문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양육태도와 귀인성향과의 관계는 노력과 운에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가 아동의 귀인성향 중 노력에는 정적인 영향을 운에는 부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정서적 부적응행동 간의 관계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가 애정적ㆍ수용적, 민주적ㆍ자율적일수록 정서적 부적응행동이 나타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넷째,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에 따라 아동의 정서적 부적응행동의 차이는 부모의 양육태도가 권위ㆍ통제적, 적대ㆍ거부적일수록 아동의 정서적 부적응행동이 나타난다고 밝혀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ceived parental rearing attitudes upon their attribution and emotional maladaptation behaviors. 237 students in 5th through 6th grade of three schools were chosen and asked.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 As for the correlation between children’s perceived parental rearing attitudes and their attribution, there was a significant from the aspects of such attribution factors as effort and fate. (b) Children’s perceived parental rearing attitudes had significant influence upon such attribution factors as effort and fate. (c) A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perceived parental rearing attitudes and their emotional maladaptation behaviors,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This finding seems to present the fact that if parent’s rearing attitudes are desirable, children will not present emotional maladaptation behaviors. (d) As for the difference of children’s emotional maladaptation behaviors by their perceived parental rearing attitudes, if parent’s rearing attitudes were not desirable, children more frequently presented emotional maladaptation behaviors.
1. 서론
2. 연구 방법
3. 연구 결과
4.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