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Religious Expenditure upon the Permanent Income of Korean Households
- 한국자료분석학회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 Vol.14 No.1
-
2012.0237 - 42 (6 pages)
- 이용수 3

초록
This study was designed to statistically analyze the effect of religious expenditure upon the permanent income of korean households. The direction of causal effectiveness between religiosity and income is inconclusive in the academic discussions. Using the pooled microdataset of the household income and expenditure survey from 2000 to 2008, the estimation result of permanent income equation shows that the permanent income of Korean households is positively related with households’ religious expenditure. The Korean households with religious expenditure have higher permanent income than the households with no religious expenditure. A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at it was impossible to analyze by the type of religion because of the limitations of the data that do not provide information on the kind of religion followed by households.
목차
1. Introduction
2. Data
3. Permanent Income and Estimation Model
4. Estimation Result of Permanent Income
5. Conclusion
Reference
참고문헌 (0)
등록된 참고문헌 정보가 없습니다.
해당 권호 수록 논문 (45)
- 확률적 생산프런티어를 이용한 국내 화력발전부문의 효율성 평가
- An Analysis of Insurance Commission Level in the Domestic General Insurance Market
- 한국주식시장의 시가효과에 관한 연구
- 간병인의 업무수행과 관리현황에 대한 급성기 병원 간호사의 인식
- 컴퓨터 자격증 취득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중국과 동아시아 국가간 경기변동 동조화 분석
- An Empirical Test for Temperature Forecasting Models
- 계수 자료 분석을 위한 의사결정나무에서의 변수선택
- 위계적 로지스틱 모형을 이용한 H 할인매장 고객 이탈 분석
- 소셜 네트워크 사이트에서 프라이버시 침해 우려와 네트워크 외부성의 영향
- 포아송분포를 이용한 축구경기의 승률 예측에 관한 연구
- 모바일 광고에 대한 소비자의 지각된 상호작용성과 플로우가 모바일 광고 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대한간호학회지에 게재된 실험연구의 방법론적 질 평가
- 지역축제의 체험요인이 관광객의 지각된 가치와 만족도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e-커리어 포트폴리오 활용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고학년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효과
- 외국인 직접투자의 생존율과 생존요인에 대한 실증연구
- 골프 경기력 요인의 경제적 가치분석
- NCEP/NCAR 재분석 자료를 이용한 2010년 6월 태풍의 발생환경 진단
- 혼합모형을 이용한 미국도시별 기온변화 곡선의 군집분석
- 범이론적 모형을 적용한 고혈압 노인의 약물순응행위에 관한 연구
- 시각적 방법을 활용한 자료 분석 사례연구
- The Moderating Impact of Visual, Auditory, and Olfactory Stimuli in the Formation of Behavioral Intention in Luxury Restaurants
- 저소득층 노인 만성 심부전 환자의 자가간호 이행증진을 위한 건강정보 활용능력 강화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간호교육의 성과 측정을 위한 평가요소 개발
- A Study of the Internal Rate of Return to Higher Education: Focusing on Health and Natural Science Majors
- Nonlinear Properties of Stock Price and Trading Volume
- 항공사의 여행사에 대한 관계혜택과 관계몰입 간의 관계성
- 투자기회수준에 따른 발생액의 가치 관련성 분석
- 보험 지불금 데이터에 대한 로그노말, 파레토, 결합 로그노말-파레토 분포의 적합도 비교
- Construction of Non-extreme Weighted Regression Weights for Sample Surveys
- 물리치료사의 감염예방 표준주의 지식, 안전환경 및 수행도에 대한 재활병원과 일반병원 비교분석
- EBSi 수능방송에서 이러닝서비스 만족도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변화에 관한 연구
- 청소년 집단활동 참여횟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생활체육 참여 대학생의 자기관리와 운동지속의 관계
- 크리깅을 이용한 아파트 가격 예측
- 부모 양육태도가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귀인성향 및 정서적 부적응행동에 미치는 영향
- 김해시 병원간호사의 탄력적 근무에 대한 인식
- Influence Analysis of Multivariate Coefficients of Variation
- 뉴로피드백 자기-조절 훈련에 따른 아동의 뇌지수와 자기효능감에서의 변화
- The Effect of Religious Expenditure upon the Permanent Income of Korean Households
- 텍스트 마이닝을 이용한 쇼핑몰 구매후기 분석
- 아시아 주식시장에서의 시간가변 장기기억 특성의 변화
- The Method Effects of Negative Affectivity on the Association between Task Conflict and Relationship Conflict: Using Latent-Variable Models
-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건강증진행위와 대상자 특성에 따른 차이
- 인지과제 수행에 있어 배경음악의 효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