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3054.jpg
KCI등재 학술저널

임상간호사의 재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on Hospital Nurse Intention of Retention

  • 16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가 평가한 간호의 질, 업무환경, 직무몰입 및 재직의도를 파악하고 변수들 간의 관계와 재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간호관리 전략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시도되었다. 260병상 이상의 종합병원 간호사 365명이 자가설문지 작성에 참여하였고, 자료는 SPSS WIN 17.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상관관계 및 회귀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간호의 질은 ‘보통’ 이하, 업무환경은 ‘간호 관리자의 능력’이 가장 높게, ‘인력과 자원의 적절성’이 가장 낮게, 직무몰입은 ‘몰두’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70.4%에서 재직의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업무환경 중 ‘간호사-의사 관계’를 제외한 모든 영역과 간호의 질 및 직무몰입 간에, 직무몰입과 간호의 질 간에, 재직의도와 ‘현재 병동에서의 간호의질’, ‘최근 1년간 간호의 질’ 및 직무몰입 간에 유의한 상관성이 있었고, 재직의도의 예측인자로는 ‘최근 1년간 간호의 질과 직무몰입(헌신)이 도출되었다. 따라서 간호관리 전략 개발을 위해 이들 영향요인들을 고려할 것을 제언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predictors of hospital nurse’s intention of retention, to provide baseline data for improvement of nursing management. Hospital staff nurses (n=365) were surveyed and data were analysed using statistical description, correlation and regression. On a subjective scale, nurse-assessed quality of care scored below mid-level, nurse manager ability scored highest, and staffing and resource adequacy scored lowest. With regard to engagement, absorption was highest, and 70.4% of participants reported intention of retention.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practice environment and quality of care, engagement and quality of nursing care, and intention of retention and quality of care. Significant predictors identified were the quality of nursing care in the hospital the last year and engagement (dedication) on intention of retention. More development study for nursing management strategies considering these predictors is suggested.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논의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