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3054.jpg
KCI등재 학술저널

보육교사의 다문화 인식과 양성평등의식 정도 및 상관성 조사연구

Survey on Degree of the Recognition of Multiculture, Awareness of Gender Equality and Their Correlation in Nursery Teacher

  • 14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다문화 인식과 양성평등의식 정도를 파악하고 보육교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다문화 인식과 양성평등의식에 차이 및 두 변수 간의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시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보육교사 368명이었으며, 2011년 8월부터 10월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보육교사의 다문화 인식 정도는 5점 척도 중 3.42±0.50으로 다문화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양성평등의식 정도는 4점 척도 중 3.06±0.32로 높은 양성평등의식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의 나이가 어릴수록, 근무시간이 짧을수록, 학력이 낮을수록, 근무경력이 짧을수록, 다문화에 대한 연수 경험이 없을수록 다문화 인식 점수가 낮게 나타났다. 보육교사의 나이가 많을수록, 남성일수록, 근무시간이 짧을수록 양성평등의식 점수가 낮게 나타났다. 또한, 다문화 인식과 양성평등의식 간에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a descriptive survey to examine degree of recognition of multiculture and awareness of gender equality of nursery teachers, the difference of recognition of multiculture and awareness of gender equality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the correlation between recognition of multiculture and awareness of gender equality. Targeting 368 nursery teachers, it undertook data collection from August to October 2011. Consequently, nursery teachers displayed a positive level of multicultural recognition which stood at 3.42±0.50 on a 5-point scale and a high level of awareness of gender equality which remained at 3.06±0.32 on a 4-point scale. They recorded a lower level of recognition of multiculture in case of younger age, shorter working times, lower education level, less teaching career, and less training experience on multiculture. Their awareness of gender equality became lower in case of older age, male, and shorter working times.

1. 서론

2. 연구 방법

3. 연구 결과

4. 논의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