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생활체육 참가자의 사상체질별에 따른 자기관리와 운동중독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Self-management and Exercise Addiction according to Sasang Constitution of Sports Participants
- 한국자료분석학회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 Vol.14 No.4
- : KCI등재
- 2012.08
- 2277 - 2284 (8 pages)
본 연구는 생활체육 참가자의 사상체질별에 따른 자기관리와 운동중독의 관계를 살펴보고 생활체육인의 지속적인 운동을 위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부산광역시에 거주하면서 생활체육에 참여하고 있는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SPSS/PC+ WIN. 1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차이, 관계분석을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생활체육 참가자의 사상체질별에 따른 운동중독은 운동의존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소양인과 태음인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생활체육 참가자의 사상체질별에 따른 자기관리와 운동중독의 관계에서 태양인은 운동의존과 훈련관리, 몸관리와 금단증세는 몸관리와 소양인은 운동의존과 훈련관리, 몸관리와 양의 상관을, 금단증세는 대인관리와 음의 상관을 그리고 훈련관리, 몸관리와 유의한 양의 관계가 있다. 태음인은 운동의존와 자기관리 모든 요인(+)과, 금단증세는 훈련관리(+), 몸관리(+)와 사회적 문제는 훈련관리(+)와 소음인은 운동의존과 대인관리(+), 훈련관리(+), 정신관리(+)와 금단증세와 사회적 문제는 몸관리(+)와 유의한 관계가 있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to sustain exercise for the sports participants according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management and exercise addiction.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using differences and relationship analysis of the SPSS / PC+ WIN. 15.0 program. First, exercise addiction due to Sasang constitution of sports participants has significant difference on sports dependence and soyangin and taeeumin showed high difference. Secon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 management and exercise addiction according to Sasang constitution of sports participants, taeyangin has significant relationship on sports dependence and sports management(+), health management and withdrawal (+), and soyangin has significant relationship on sports dependence and training management(+), health management(+) and withdrawal on interpersonal management(-), training management(+), health management(+). Taeeumin has significant relationship on sports dependence and all the factors of self-management (+), withdrawal for training management (+), health management (+) and social problem for training management (+). Soeumin has significant relationship on sports dependence and interpersonal management (+), training management (+), mind management (+) and withdrawal and social problem for health management.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및 논의
4.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