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비유형별 체험특성과 소비성과의 관계
A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Consumption Experience and Consumption Performance on Consumption Types
- 한국자료분석학회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 Vol.14 No.4
- : KCI등재
- 2012.08
- 2217 - 2230 (14 pages)
본 연구는 소비자 설문조사로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소비체험의 각 특성과 소비성과의 관계 및 소비유형에 따라 소비체험의 구체적인 특성이 소비성과에 미치는 상대적인 영향력을 평가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소비체험은 일상탈피, 경제가치, 즐거움, 심미감으로 구분되며, 일상탈피는 예술여가서비스에서 잘 경험되는 반면에, 일상생활과 관련된 소비유형에서는 낮게 나타났다. 금융서비스, 백화점, 스포츠오락서비스, 예술여가서비스에서는 경제가치가 높은 반면, 종합도매에서는 낮고, 즐거움은 예술여가서비스, 스포츠오락서비스에서 높게 체험되지만, 재래시장, 종합도매에서는 낮았다. 심미감은 백화점에서 가장 높고, 종합도매에서는 가장 낮았다. 전 산업에 대해 그리고 일상생활의 유지목적, 전문성과 서비스 특성이 강한 소비유형에서 경제가치의 영향력이 크며, 유희, 여가 등의 목적, 특정 제품범주의 제품을 소비할 때 심미감이 중요하였다. 백화점의 경우, 경제가치 외에 유일하게 즐거움 체험이 중요하였으며, 스포츠오락서비스의 경우, 심미감과 함께 일상탈피 체험이 소비성과에 중요하게 작용하였다. 결론적으로 소비유형별 체험관리의 필요성과 이를 통한 소비성과 증대의 방안을 고려할 필요성을 발견하였다.
Using survey data, this paper explores how consumption experience affects consumption performance when consumption types are different, such as pleasure, aesthetics, economic value and escapism.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each of dimensions of consumption experience does have the different impacts on consumption performance, and it changes depending on types of consumption. Escapism is dominant in art and leisure service which is not daily-life connected like wholesale business, large and comprehensive retail business, or financial support services. Economic value is important in financial support services, department store, art and leisure, and sports and entertainment services but not in wholesale business. Pleasure is well experienced in art, entertaining businesses not in wholesale business. Aesthetics is high in department store, low in wholesale business. For total industry, consumption to maintain a daily-life, specialized, and service-centered, economic value plays main role in consumption performance. Following results, management needs to develop different dimensions of consumption experience to the types of consumption.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실증분석
5. 결론
참고문헌